팬데믹 여파로 수년간 대부분 공실
대형 쇼핑몰→오피스로의 성공적 용도전환 사례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대규모 공실로 임차 수요 모집에 부침을 겪었던 서울 성동구 서울숲더샵 상가(구 엔터식스 한양대점)가 오피스로 재탄생했다.
![]() |
서울 성동구 서울숲더샵 상가 전경. [사진=알스퀘어] |
21일 상업용 부동산 기업 '알스퀘어'가 서울숲더샵 상가 오피스 리모델링 프로젝트를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3년간 공실로 방치돼 있던 대형 쇼핑몰을 오피스로 전환한 사례다. 녹십자그룹을 비롯한 대기업 입주로 임대율 100%를 달성했다.
2014년 서울숲더샵 상가는 엔터식스 한양대점으로 개장해 100여개 브랜드가 입점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급격한 매출 감소와 임차인 이탈로 어려움을 겪었다.
2020년부터 점포들이 하나둘 문을 닫기 시작했고, 2021년 리뉴얼을 시도했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지하 2층부터 지상 4층까지 총 6개층이 공실 상태로 남아있었다. 400m 떨어진 엔터식스 왕십리역점이 지하철 4개 노선 연결의 이점으로 안정적인 매출을 유지한 것과 대조되는 모습이었다.
2023년 말 부동산 투자개발사 GRE파트너스가 건물을 인수한 뒤 오피스 리모델링에 착수했다. 알스퀘어는 매입·매각부터 프로젝트 개발 기획·설계·시공·임대·운영관리의 전 과정을 담당했다. 알스퀘어 관계자는 "유동인구 감소와 소비 패턴 변화로 리테일 운영의 한계가 명확해진 상황에서 오피스 수요 분석을 통해 용도 변경을 결정했다"며 "오피스는 리테일 대비 공실 리스크가 낮고, 임대 수익의 안정성이 높다는 점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리모델링을 통해 서울숲더샵 타워1동과 타워2동은 업무시설로 변경돼 사전 임차가 완료됐다. 녹십자그룹과 성동구청 등이 입주했다. 녹십자그룹은 전체 3만3000㎡ 중 3분의 2 이상을 임차해 여러 곳에 분산돼 있던 계열사들을 한 곳으로 통합하는 사옥으로 활용하고 있다.
성동구청은 성동50플러스센터를 입주시켜 민관협력 모델을 실현했다. 성동구는 주민·기업·지방자치단체가 함께 지역을 관리하는 타운매니지먼트 개념을 도입, 용도변경 행정절차에 적극 협조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행정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성장이 전체의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연결하고 조율하는 플랫폼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