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피해자 13명 구술자료·동원경로 등 밝혀…'기림의 날' 행사 마련
[광주=뉴스핌] 이휘경 기자 = 광주시는 일본군 위안부 지역 피해 사례를 최초로 발굴해 공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민 참여형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기념행사를 13일 오후 5시 전일빌딩245 다목적강당에서 연다고 7일 밝혔다.
광주시는 기존 형식적이던 '기림의 날' 행사를 지역성과 역사성을 담은 행사로 개선하고자 지난해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공공역사연구소)에 의뢰해 광주지역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관련 자료를 수집했다. 그 결과 광주와 연관된 피해자 13명의 구술자료와 동원 경로 등을 확인했다.
![]() |
평화의 소녀상. [사진=광주광역시] 2025.08.07 hkl8123@newspim.com |
광주 제사공장(실 뽑는 공장) 또는 방직공장에서 일하던 여성들이 중국 등으로 집단 동원돼 일본군 위안부로 강요당한 사례가 최복애 할머니를 포함해 4명으로 확인됐다. 광주는 인근 농촌에서 이주해온 여성들이 공장 등을 통해 동원되거나 동원 전 모이는 중간 집결지 역할도 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또 1938년부터 1944년 사이에는 '공출' 관련 유언비어를 퍼뜨렸다는 이유로 형사처벌 받은 7건의 사례도 발견됐다. 이 판결문들에는 '일제가 어린 소녀나 과부를 전쟁터로 보낸다'는 소문을 막기 위해 오히려 유언비어를 확산했다는 명목으로 형사처벌한 기록이 담겨 있으며, 당시 여성들의 공포와 억압적 사회 분위기를 보여준다.
광주시는 올해 다양한 시민 참여형 기림의 날 행사를 추진한다. 지난 4월부터 지역 시민사회단체 및 행사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행사를 논의 중이다. 13일 오후 5시 전일빌딩245 9층 다목적강당에서 열리는 기념행사는 시민 300여 명이 참석하며 '용기와 연대로 되찾은 빛, 평화를 밝히다'라는 주제로 시민강연, 주제영상, 문화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이정선 조선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가 '우리가 몰랐던 광주지역 일본군 위안부 이야기'를 주제로 시민강연을 하고, 'AI로 복원된 소녀들' 영상과 피해자 4명 생전 사진을 토대로 한 영상물이 공개된다. 놀이패 신명의 추모공연과 '피해자 13명 이름 부르기' 퍼포먼스, 관객 참여 추모 프로그램도 마련됐다.
또 올해는 광주시 아동·청소년 의회 의장단과 광주시교육청 학생 의장단이 참여해 기성세대와 미래세대가 함께 기억을 계승하는 뜻깊은 자리가 될 예정이다. 사전행사로 당일 오후 2시 전일빌딩245 중회의실에서 일본군 위안부 연구회 주최 강연이 열린다. 5개 자치구도 12일부터 기림의 날을 기념하는 전시, 공연, 인권평화축제 등의 개별 행사를 진행한다.
'기림의 날'은 1991년 8월 14일 고(故) 김학순 할머니가 피해 사실을 공개 증언한 날을 기리고자 2018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 현재 정부 등록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40명 중 생존자는 6명이며, 광주 등록자였던 곽예남 할머니는 2019년 3월 별세했다.
이영동 여성가족국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용기와 목소리를 기억하고, 올바른 역사 인식과 인권의 가치를 되새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특히 청소년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기억과 계승이 이뤄지는 의미 있는 기림의 날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hkl812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