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세 매물 4만9441건…2달여 만에 약 10% ↓
매매→임대차 이동·계약갱신권 사용에 따른 물량 감소…"단기 임시대책 필요"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가을 이사철을 앞두고 전세 시장에 불안감이 드리우고 있다. 6·27 대출 규제 시행 이후 매수수요가 임대차 시장으로 유입되면서 매물이 빠르게 줄어들며 전셋값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어서다.
전셋값 상승에 기존 세입자들이 계약갱신권청구권을 사용하면서 신규 물량이 유입되지 않는 점 역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에선 조만간 발표될 주택공급 대책에 공공임대주택 등 단기 임시대책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수요자들의 주거 부담이 가중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 |
◆ 수도권 전세 매물 4만9441건…2달여 만에 약 10% ↓
21일 업계에 따르면 대출 규제 시행 이후 매매 수요의 이동에 따른 매물 감소로 전셋값 상승폭이 점차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6·27 대출 규제 시행 이후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전세 매물이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지난 6월 26일 기준 5만4843건이었던 수도권 전세 매물은 4만9441건으로 9.8% 감소했다. 같은 기간 2만4897건에 달했던 서울 전세 매물은 2만3200건으로 6.8% 감소했다. 경기와 인천은 각각 2만4776건에서 2만1797건으로 12.0%, 5170건에서 4444건으로 14.0% 감소했다.
차지구별로 보면 성북구의 전세 매물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북구 전세 매물은 768건에서 486건으로 36.8% 줄었다. 이어 은평구(-25.8%), 동작구(-24.3%), 관악구(-22.0%), 서대문구(-18.8%) 순으로 물량이 감소했다. 같은기간 매물이 늘어난 곳은 강남구(5.1%)와 금천구(0.8%)가 유일하다.
전국적으로도 흐름은 비슷하다. 6·27 대출 규제 이후 두 달 새 전세 매물이 10.4% 감소했다. 지난 11일 기준 전국 전세수급지수 역시 149.8을 기록해 기준선(100)을 웃돌고 있다. 이는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고 있음을 뜻하며 통상 100 이상이면 전세값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된다. 서울은 152.0으로 2021년 10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매물이 줄어들면서 전셋값 상승세도 지속되고 있다. 8월 셋째주(21일 기준) 기준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 대비 0.05% 오르며 28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강남권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송파구가 0.16% 올라 가장 큰 폭을 기록했고 강동구(0.14%), 동작구(0.08%)가 뒤를 이었다. 강북권도 광진구(0.07%), 성북구(0.06%) 등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입주물량 영향으로 서초구의 경우 유일하게 0.02% 하락했지만 정주 여건이 우수한 대단지 중심으로 매물 부족 현상이 이어지면서 가격이 더 쉽게 자극받는 모양새다.
◆ 매매→임대차 이동·계약갱신권 사용에 따른 물량 감소…"단기 임시대책 필요"
주택담보대출이 6억으로 제한되면서 매매수요가 임대차 시장으로 이동한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가을 이사철이 도래하면서 매물 감소는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임대차 2법이 여전한 점도 매물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기존 세입자들이 전셋값 상승에 따른 영향으로 주거지를 옮기기 보다 보증금의 5%까지만 인상이 가능한 전월세상한제가 적용되는 만큼 계약갱신청구권 사용으로 거주기간을 연장해 신규 전세 매물 유입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집주인들이 대출 규제와 세제 변화로 인해 임대를 주지 않고 실거주로 들어오는 점 역시 매물이 줄어드는 요인이다.
업계에선 당분간 전세 시장 불안이 해소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내년 서울 입주 물량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줄어드는 데다 정책 변수와 가을 이사철 수요까지 맞물리면서 전세난이 한층 심화될 수 있어서다.
업계 관계자는 "대출 규제와 임대차 2법, 공급 공백이라는 삼중(三重) 악재가 겹치면서 전세 시장의 구조적 불균형이 이어지고 있다"며 "세입자 입장에서는 선택지가 점점 좁아지고 있는 만큼 전셋값 상승 압박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입주 절벽 상황에서 뚜렷한 공급 확대 신호가 없는 한 전세난은 장기화할 수밖에 없다"며 "중장기 공급 로드맵과 동시에 단기 임시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min7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