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한미 정상회담 지원사격
추가 투자 소식 전할까 '주목'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등 재계 총수들이 한미 정상회담 지원 사격을 위해 24일 미국 워싱턴 D.C.로 출국했다.
이 회장은 이날 오후 3시 48분쯤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SGBAC)에 도착했다. 각오 한 마디를 요청한 취재진의 질문에 이 회장은 살짝 미소를 지었지만 끝내 침묵하며 출국장으로 향했다.
![]() |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오는 25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 경제사절단에 동행하기 위해 24일 서울 강서구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SGBAC)를 통해 출국하고 있다. 2025.08.24 aykim@newspim.com |
삼성은 이날 이 회장 외에 정현호 사업지원TF 부회장, 최성안 삼성중공업 대표이사 부회장, 오세철 삼성물산 건설부문 대표이사 사장, 김원경 삼성전자 글로벌대외협력(GPA)실 사장 등 사장단도 방미행에 동행했다.
삼성 사업을 총괄하는 정 부회장을 비롯해 조선 부문을 맡고 있는 최 부회장까지 미국 출장길에 함께 오르자 재계에서는 삼성이 역대급 대미 투자를 발표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한다.
![]() |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정현호 삼성전자 부회장이 오는 25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 경제사절단에 동행하기 위해 24일 서울 강서구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SGBAC)를 통해 출국하고 있다. 2025.08.24 aykim@newspim.com |
삼성전자는 텍사스주 오스틴과 테일러에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을 건설 중이다. 이를 위해 총 370억달러(54조원)를 투자했다. 대신 47억4500만달러(6조5000억원) 상당의 보조금을 받기로 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관세 부과 방침을 내비친 상황인 점을 고려하면 이번 회담을 계기로 삼성전자가 미국 내 증설 계획 등 투자 확대를 결정할 것으로 관측된다.
또한 한화그룹과 HD현대 등 K-조선 3사가 모두 방미길에 오른 만큼 한미 조선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에 삼성중공업의 참여 방안도 구체화될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업계에서는 현지 조선소 인수 및 투자, 유지·보수·정비(MRO) 위탁 등의 형태를 전망한다.
한편 이날 낮 12시쯤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SGBAC를 통해 미국으로 출국했다. 최 회장은 각오를 묻는 질문에 "열심히 하겠다"고 말했다.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에 38억7000만 달러(약 5조원)를 투자해 고대역폭메모리(HBM) 공장을 지을 예정이다.
이 외에도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낮 12시 10분,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낮 12시 30분쯤 SGBAC를 통해 미국으로 출국했다. 김 부회장은 이번 출장길에서 이재명 대통령에게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한화 필리조선소를 안내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방미 사절단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비롯해 최태원 SK그룹 회장, 류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허태수 GS그룹 회장, 구자은 LS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 등이 이름을 올렸다.
a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