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더블유에스아이 자회사 인트로바이오파마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유사체 경구용 비만치료제 핵심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비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라고 27일 밝혔다.
회사는 자체 개발한 이뮬패스(EmulPass) 기술을 활용해 고분자 펩타이드의 위장관 내 흡수율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인트로바이오파마는 임상시험수탁(CRO) 자회사 아이비피랩을 통해 비만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혈액 분석법을 확립했으며 현재 동물실험이 막바지 단계에 있다고 전했다. 회사는 빠르면 3분기 내 동물실험을 완료하고 특허출원 등 기술기반을 확보한 뒤 임상을 시작할 계획이다.
![]() |
더블유에스아이 로고. [사진=더블유에스아이] |
최근 비만치료제 시장은 다국적 제약사인 일라이 릴리, 노보 노디스크의 주도로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의약품 조사기관 이밸류에이트에 따르면 GLP-1 계열 약물이 오는 2030년까지 연평균 20% 이상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대표주자인 일라이 릴리의 당뇨치료제 마운자로와 비만치료제 젭바운드는 각각 1위와 3위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돼 지난해 기준 매출 1위인 머크사의 키트루다를 제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규모가 커지고 GLP-1 의약품 사용자가 확장됨에 따라 경구용 제형에 대한 연구개발도 가속화되고 있다. 노보 노디스크는 흡수촉진제(SNAC) 기술을 활용한 경구용 당뇨치료제 리벨서스로 지난해 34억달러(약 4조 7430억원) 매출을 기록했다. 노보 노디스크는 SNAC 원천기술 업체인 에미스피어(Emisphere Technology)를 지난 2020년 18억달러(약 2조 5110억원)에 인수한 바 있다.
인트로바이오파마 관계자는 "이뮬패스 기술을 토대로 자회사 아이비피랩과의 협업으로 비만치료제 경구용 제형 개발로 기업가치를 크게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더블유에스아이는 인트로바이오파마 지분 77%를 보유한 가운데 인트로바이오파마를 통해 차세대 비만치료제 시장 진출을 본격화해 헬스케어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