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농업 고용 2만2000건·실업률 4.3%
트럼프 관세·이민 규제가 노동시장 냉각 가속
국채금리 일제 하락…0.25%p 인하 유력, 빅컷 가능성은 제한적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미국의 고용시장이 빠르게 식고 있다. 5일(현지시간) 발표된 미국의 8월 비농업 고용은 시장 예상치의 3분의 1 수준에도 못 미쳤으며 실업률은 지난 202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수치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9월 금리 인하를 사실상 확정지었다고 평가했다.
미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BLS)이 이날 발표한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8월 비농업 고용은 2만2000건 늘었다. 이는 7월 증가치(7만9000건·수정치)에 대폭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이로써 최근 몇 달간 이어진 둔화 흐름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 다우존스·로이터·팩트셋 등 주요 컨센서스 전망치(7만5000~7만6000건)의 3분의 1수준이다.
실업률은 7월 4.2%에서 0.1%포인트 상승한 4.3%로 집계됐다. 2024년 5월 이후 4.0~4.2% 박스권에 머물던 실업률이 상단을 벗어난 것이다.
![]() |
미국의 실업률과 비농업 고용 증감(전월대비), 자료=미 노동통계국, 2025.09.05 koinwon@newspim.com |
◆ 트럼프 관세·이민 규제 여파
고용 부진은 기업들의 신규 채용 의지가 꺾인 데서 기인한다는 분석이 많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고율 관세와 이민 규제가 노동시장 냉각을 가속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7월에는 미국의 구인(일자리 공석) 수가 718만 개로 10개월 만의 최저로 줄었으며, 코로나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구직자 수가 일자리 수를 넘어서는 상황이 발생했다.
고용통계 발표를 둘러싼 정치적 논란도 이어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BLS 국장을 전격 해임하며 "고용 수치를 조작했다"는 주장을 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수정치는 통계청의 '출생·사망 모델(birth-death model)' 적용 과정에서 나온 자연스러운 결과라며 정치적 개입을 우려하고 있다.
◆ 금리 인하 확정적…관건은 '인하폭'
고용이 예상보다 빠르게 냉각함에 따라 미 연준이 오는 16~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확실시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0.25%포인트 인하 확률은 98%에 달한다. 다만 0.5%포인트 '빅컷' 가능성은 2.0% 수준으로 여전히 낮게 집계된다.
고용 지표 발표 직후 미 주가 지수 선물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S&P500과 나스닥 선물은 각각 0.2%, 0.6% 올랐으며, 다우 선물은 보합세를 나타냈다.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투자심리를 지탱한 것이다.
미 국채 금리는 낙폭을 확대하며 벤치마크인 10년물 금리는 장중 4.103%까지 하락하며 지난 4월 7일 이후 최저로 떨어졌다. 2년물 금리 역시 8bp(1bp=0.01%포인트) 하락한 3.495%로 5개월 만에 최저로 밀렸다. 최근 5%를 위협하던 30년물 금리 역시 3bp 넘게 하락하며 4.8%대로 후퇴했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