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지역경제 살리기 180억 투입
사용처 제한과 명절 인센티브 불만
지역화폐 제안과 공정성 확보 필요
[광명=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 광명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화폐와 지역경제 발전 방안 마련 정책토론회'를 지난 9일 오후 2시 광명융합기술교육원 강당에서 열었다고 10일 밝혔다.
![]() |
안성환 광명시의원 주관으로 광명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화폐와 지역경제 발전 방안 마련 정책토론회'가 9일 오후 2시 열렸다. [사진=안성환 광명시의원] |
토론회는 안성환 광명시의원이 좌장을 맡아 진행했으며, 현장에서는 소상공인·전문가·시민들의 다양한 제언이 쏟아졌다.
첫 발제를 맡은 안성환 의원은 "광명지역화폐는 2019년 도입 이후 현재까지 약 180억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됐다"며 시민 인식조사 결과를 공유했다.
조사에 따르면 평균 만족도는 80%였지만, 사용처 제한(35%)과 명절 인센티브 운영 방식에 대한 불만이 컸다.
김건호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지역화폐는 본질적으로 지불수단의 전환일 뿐 총소비 자체를 늘리지는 못한다"며 "다만 서울로 소비가 유출되는 광명시의 특수성을 고려하면, 지역 내 소비처를 유도하는 효과는 충분히 의미 있다"고 강조했다.
김정미 광명시의원은 "광명시는 대형 쇼핑몰 내 소상공인 점포에서 지역화폐 사용이 불가능하지만, 수원·용인 등 다른 도시는 허용하고 있다"며 제도 운영의 형평성 문제를 지적했다.
이어 "충전 인센티브를 일률 지급하는 방식에서 사용 시 인센티브로 전환하면 화폐 순환 속도가 빨라지고 매출 증대 효과도 커질 것"이라고 제안했다.
박재철 광명시 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지역화폐는 외부로 빠져나가던 소비를 지역 상권으로 되돌리는 제도"라며 "소비가 동네 가게에서 다른 가게로 이어지는 흐름은 공동체를 살리는 힘이 된다"고 체감 사례를 전했다.
주미화 광명교육희망네트워크 대표는 "초기 기대와 달리 불편함 때문에 사용 빈도가 줄었다"며 디지털 전환과 맞춤형 지원을 강조했다. 특히 명절 선착순 충전 방식의 불공정성을 지적하며 △공정성 강화 △주민센터 자동 충전기 도입 △어르신 맞춤형 서비스 △기업 후원 기반 지속가능성 확보를 제안했다.
시민들도 서적 구매 한도 확대, 학원 업종 가맹 제외, 명절 캐시백 방식 전환 등 구체적 제안을 내놨다. 고령층은 "충전 방식이 어려워 사용을 포기한다"며 접근성 문제를, 학부모들은 "선착순 혜택이 조기 마감돼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불만을 표했다.
![]() |
안성환 광명시의원 주관으로 광명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화폐와 지역경제 발전 방안 마련 정책토론회'가 9일 오후 2시 열렸다. [사진=안성환 광명시의원] |
이번 토론회에서는 ▲업종 편중 해소 ▲소상공인 지원 강화 ▲디지털 전환 ▲세대별 맞춤 서비스 ▲공정한 충전 운영 ▲캐시백 지원 제도 ▲지속가능한 재원 구조 ▲공동체 가치 확산이 핵심 과제로 도출됐다.
좌장 안성환 의원은 "이번 토론회는 사전 의견조사와 현장 제안을 통해 '살아있는 정책'을 만들었다"며 "광명시 지역화폐는 단순 결제수단이 아니라 지역경제와 공동체 문화를 함께 바꾸는 전략적 수단이 되어야 한다. 이를 정교하게 다듬어 시 집행부에 제안하겠다"고 말했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