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범철 전 차관 "대통령 지시 없었다" 부인
김계환 전 사령관 "VIP 격노" 입장 번복 추궁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해병대원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을 둘러싸고 특별검사팀이 핵심 피의자들을 연이어 불러 조사에 나섰다.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과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이 14일 소환돼 조사를 받았다.
순직해병 특검팀(이명현 특별검사)은 이날 오후 서울 서초구 사무실에서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를 받는 신 전 차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3차 조사를 진행했다.
신 전 차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직접 기록회수 상황 점검했나'라는 질문에 "지금 사실대로 다 이야기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 '대통령이 박정훈 대령 보직해임을 지시했나'라는 질문에는 "그런 적 없다. 명백히 말씀드리겠다"고 말했다.
![]() |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이 11일 오전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별검사팀 사무실에 피의자 조사를 위해 출석하고 있다. 2025.09.11 choipix16@newspim.com |
신 전 차관은 2023년 7월 말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해외 출장 중일 때 법무관리관·검찰단장 등과 함께 해병대수사단의 기록 회수와 수정 과정에 개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 같은 해 8월 1일에는 김 전 사령관에게 '혐의자와 죄명을 빼고 '수사' 대신 '조사'라는 용어를 쓰라'며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그는 이후 대통령과 통화 및 대통령실 방문 정황까지 드러나며 수사 라인 개입 의혹의 중심에 서 있다.
이날 오전에는 직권남용과 모해위증 혐의를 받는 김 전 사령관이 네 번째로 특검에 출석했다. 김 전 사령관은 박정훈 당시 해병대 수사단장에게 'VIP(윤 전 대통령) 격노'를 전달한 인물로, 수사 외압 지시를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했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그는 군사법원과 국정감사에서 '격노 전달 사실이 없다'고 부인했지만, 지난 7월 구속 전 피의자 심문에서는 'VIP 격노를 전해들었다'고 진술을 바꾸며 논란을 키웠다.
![]() |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이 14일 오전 서울 서초구에 마련된 순직해병 특검팀에서 'VIP 격노설' 관련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2025.09.14 pangbin@newspim.com |
특검은 이날 김 전 사령관을 상대로 국방부·군 관계자 진술과 정황을 대조하며 격노 이후 구체적 지시 경위를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이번 조사에서 두 인물을 동시에 불러 사건 초기 외압 과정과 대통령 보고·지시 여부를 집중적으로 규명하겠다는 방침이다.
kji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