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투자·인력 지수 9~20위, 성장 발목
세계은행 "창업 늘었지만 역동성은 부족"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22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콘퍼런스센터에서 세계은행(World Bank)과 공동으로 '지속가능한 미래 성장동력으로서의 기업가정신'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한경협이 세계은행과 함께 '글로벌 기업가정신 지수(Global Entrepreneurship Index, GEI)'를 처음 개발한 데 따른 후속 조치이자, 양 기관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자리다.
![]() |
김창범 한경협 부회장, 제이슨 알포드 세계은행 한국사무소장, 김한규 국회의원을 비롯한 내빈들이 22일 FKI타워 콘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미래 성장동력으로서의 기업가정신' 세미나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 두 번째부터) 김동찬 삼양식품 대표이사, 제이슨 알포드 세계은행 한국사무소장, 김한규 국회의원, 김창범 한경협 부회장, 에르꼬 아우티오 런던임페리얼칼리지 교수, 정철 한경협 CEO 겸 한경연 원장. [사진=한경협] |
세미나에는 학계·산업계·국제기구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해 장기 저성장, 기술 대전환, 양극화 심화 등 전 세계가 직면한 과제 속에서 기업가정신의 역할을 논의했다. 전문가들은 기업가정신이 새로운 성장동력임을 강조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했다.
한경협은 세계은행 기업가정신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글로벌 기업가정신 지수를 일차적으로 개발했다. 양 기관은 해당 지수를 글로벌 스탠다드 지표로 발전시키기 위해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규석 한국경제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2023년 글로벌 기업가정신 지수에서 미국이 109.2로 1위를 차지했고, 스위스·오스트리아·캐나다에 이어 한국은 107.0으로 5위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한국은 정부정책(3위), 기술(2위) 등 투입 요인에서 세계 최상위권에 올랐지만 성과 지수는 99.5로 10위에 머물렀다.
그는 "특히 규제(13위), 인력(20위), 투자(9위)가 병목으로 작용해 투입의 우수성이 성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며"한국이 글로벌 혁신역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규제 혁신, 노동시장 유연화, 민간투자 활성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또 지수의 차별성에 대해 "창업, 성장, 글로벌화 등 기업 활동 전 과정을 지표화해 실제 기업활동을 종합적으로 반영했다"며 "기존 지수가 현실과 괴리된 부분을 보완해 기업가정신을 체계적으로 진단할 수 있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프레드릭 므녜 세계은행 선임이코노미스트는 주제발표에서 "신규법인밀도를 기준으로 국가 간 기업가정신 수준을 살펴보면, 한국은 2006년 대비 2023년 창업이 두 배 가까이 늘었으나 호주, 뉴질랜드 등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며 "더욱 역동적인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2023년 한국의 성인 1,000명당 신규 법인 수는 3.5개로 호주(18.1개), 뉴질랜드(16.1개)에 크게 못 미쳤다.
'기업가들이 직면한 도전과 극복 전략' 세션에서는 김동찬 삼양식품 CEO와 이스마엘 벨카얏 모로코 핀테크 기업 'Chari' CEO가 발표자로 나섰다. 김 CEO는 "삼양식품이 '너무 맵다'는 이유로 불닭볶음면 개발을 포기했다면 지금의 성과는 없었을 것"이라며 "불확실성을 두려워하지 않고 과감하게 미래를 선택하는 기업가정신이야말로 새로운 시장을 열고 산업의 판도를 바꾸는 힘"이라고 강조했다.
김창범 한경협 상근부회장은 "기업가정신은 새로운 시장을 발견하고, 위험을 관리하며, 혁신을 실행으로 연결하는 능력"이라며 "이는 신생기업에게는 생존과 도약의 발판이 되고, 기존 기업에게는 혁신의 두 번째 물결(Second Wave)이 된다"고 말했다.
a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