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4 초강력 불마켓 1주년 맞은 A주
체질개선, 산업전환, 자금유입 뚜렷
10대 변화로 살펴본 A주 투자트렌드
이 기사는 9월 24일 오후 4시19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9∙24 불마켓 1주년① A주 10대 변화로 살펴본 투자트렌드>에서 이어짐.
◆ 시총 TOP10 순위의 변화, 기술주의 진입
A주 시장의 시가총액 순위에서도 일부 변화가 발생했다.
중국 금융정보 제공업체 윈드(Wind)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9월 24일과 2025년 9월 23일 기준 A주 시총 상위 10개주를 비교해보면, 귀주모태(600519.SH)와 페트로차이나(601857.SH)의 순위가 하락한 반면 농업은행(601288.SH), 건설은행(601939.SH), 닝더스다이(CATL 300750.SZ)의 순위가 상승했다.
2024년 시총 TOP10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던 시누크(600938.SH)와 중국생명보험(601628.SH)이 밀려나고 그 자리를 부사강산업인터넷(601138.SH)과 초상은행(600036.SH)이 차지했다.
특히, 지난 1년간 기술주의 약진 속 10위권에 처음 이름을 올린 통신 네트워크 설비 및 클라우드 서비스 설비 등을 생산하는 중국 전자장비 연구개발 선두기업 부사강산업인터넷(富士康工業互聯網股份有限公司∙Fii Foxconn, 601138.SH)이 주목된다.
엔비디아 핵심 공급사로 새로운 황금기로 진입한 부사강산업인터넷은 우수한 실적 달성 외에도 역대 최고 수준의 현금배당 지급으로 배당매력을 높였다. 그 결과 부사강산업인터넷의 주가는 9월 23일 최신 종가 기준으로 연내 240% 올랐다.
이와 함께 2024년 9월 24일 4088억8200만 위안이었던 부사강산업인터넷의 시총은 2025년 9월 23일 1조4073억 위안으로 크게 상승했다.
![]() |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09.24 pxx17@newspim.com |
◆ 2위안 미만 '저가주' 대폭 감소
A주가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지속하면서 저가주의 수도 눈에 띄게 줄었다.
주가 2위안 미만을 저가주로 볼 때, 최신 데이터 기준 A주에 상장된 저가주는 32개 종목에 불과해 최근 몇 년 사이 최저치를 기록했다. 2024년 9월 24일 기준 주가 2위안 미만 종목이 161개에 달했던 것과 비교하면 확실하게 줄어든 수치다.
현재 A주에 남아있는 저가주는 주로 메인보드에 상장돼 있으며, 부동산 관련 종목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업계 경기 침체 속에 기업들의 실적 부진이 지속되며 섹터 전반의 주가가 하락한 것은 저가주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풀이할 수 있다.
◆ 100위안 이상 '고가주' 대폭 증가
저가주는 눈에 띄게 줄어든 반면 주가 100위안 이상 고가주는 대폭 늘어났다. 고가주의 상승은 시장의 투자열기를 보여주는 대표적 지표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현재 A주에 상장된 고가주는 167개 종목에 달해 최근 몇 년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2024년 9월 24일 고가주 수량이 38개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큰 변화다.
A주 시장에서 주가가 1000위안을 넘는 종목은 귀주모태와 캠브리콘(寒武紀∙한무기∙Cambricon 688256.SH)의 두 종목이다. 지난해의 경우 귀주모태 한 종목뿐이었으나, 올해 기술주의 강세장이 지속되며 캠브리콘의 주가가 급등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중국 상하이증권거래소 산하의 기술주 전용 시장인 과창판(科創板∙커촹반)에 상장된 중국증시 유일의 AI 반도체 상장사로 '중국판 엔비디아'로 불리는 캠브리콘은 지난 8월 28일 1587.91위안으로 장을 마감해, 이날 1446.10위안의 종가를 기록한 귀주모태의 주가를 앞지르며 '신흥 황제주'로 등극했다.
9월 23일 최신 종가 기준으로 캠브리콘은 1350.38위안, 귀주모태는 1447.42로 다시 귀주모태가 최고가에 거래되고 있다. 캠브리콘의 주가는 올해 들어 105% 이상 오른 상태다.
![]() |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09.24 pxx17@newspim.com |
◆ '기술섹터' 강세, 배 이상 상승한 '5대 섹터'
지난 1년간 A주 31개 섹터의 주가는 모두 상승했다.
선완증권(申萬證券)이 분류한 31개 1급 섹터에 통신·전자·기계설비·컴퓨터·자동차 5대 업종은 배(100%) 이상 상승했으며, 전력장비·비철금속·가전·국방군수·종합 섹터 역시 80% 이상의 상승폭으로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반면 석탄·은행 업종은 각각 20% 대의 상승폭을 기록해 상대적으로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섹터의 주가 상승흐름을 분석해보면 인공지능(AI)와 로봇, 반도체 등 미래형 혁신기술 산업의 성장성이 부각되면서 지난 1년간 A주 장세는 기술 업종의 강세흐름이 매우 뚜렷했고 기술주의 상승폭이 전통주 대비 확연히 높았다.
◆ ETF의 A주 영향력 확대, 5조위안 돌파
지난 1년 동안 상장지수펀드(ETF) 규모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현재는 5조 위안을 넘어선 상태다.
중국 금융정보 제공업체 윈드(Wind)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9월 22일 기준 전 A주 시장의 ETF 규모는 약 5조3300억 위안으로, 1년 전 대비 80% 이상 증가했다. 2024년 9월 24일 당시에는 약 2조8700억 위안 수준이었다.
A주 전체 시가총액 대비 ETF 규모의 비중을 살펴보면, 1년 전 약 4%에 불과했던 것이 현재 약 5%로 상승했다.
이는 ETF의 A주 시장 영향력이 점점 더 커지고 있음을 말해주는 동시에, 투자자들의 자금이 개별종목을 넘어 더욱 체계적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유입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