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동남권 연결 광역버스 신설 논의
출퇴근 시간대 이용객 4973명, 대중교통 이용 불편 심각
신규 노선,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연결성 강화 목표
[의왕=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 의왕시가 판교와 분당, 용인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등 수도권 동남권 핵심 산업지구와 연결되는 대중교통 인프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역버스 신설 방안을 본격 논의하고 있다.
![]() |
왼쪽부터 서창수, 한채훈, 김태흥 의왕시의회 의원. [사진=의왕시의회] |
의왕시의회는 지난 24일 시의회 중회의실에서 열린 '광명역 및 분당판교 방향 광역버스 노선 신설 연구용역' 중간보고회에서 시민들의 직주근접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교통정책 필요성을 집중 점검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용역을 맡은 대한교통학회에 따르면, 판교 및 동남권 방면 대중교통 일일 평균 이용객은 4973명으로, 특히 오전 7~9시, 오후 5~7시 출퇴근 시간대 수요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또 의왕에서 판교·분당 방면 이동 시 대중교통 소요 시간이 승용차 대비 1.61배 길었고, 수도권 동남권 전체 접근성은 무려 1.91배에 달해 시민 불편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 |
의왕시에서 판교 및 동남권 방면 대중교통 이용 현황 분석자료. [사진=의왕시의회] |
대한교통학회 관계자는 "의왕시민들의 편의를 위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로 연결되는 신규 노선 발굴 검토가 필요하다"며 광역경제권 접근성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연구단체 대표인 한채훈 의원은 "직행 광역버스는 시내버스와 달리 간선 위주의 주요 정차 지점을 설정해야 효율성과 만족도가 높다"며 노선 설계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어 "광명역행 신규 노선은 1호선 관악역을 경유하면 수요 증대 효과로 경제성 확보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김태흥 의원은 "앞으로 의왕시 인구 증가를 감안하면 신규 광역버스 노선은 필수 과제"라며 "내손1·2동과 포일동 등 인구 밀집 지역 주민들의 접근성 측면도 반영해달라"고 주문했다.
![]() |
의왕시의회 연구단체 한채훈 대표의원이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의왕시의회] |
한편, 이번 연구용역은 한채훈 의원을 비롯해 박현호·김태흥·서창수 의원이 참여한 연구단체가 주도하고 있으며, 이들은 의왕시민들이 환승 없이 광명역, 판교, 분당 등 주요 거점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교통 인프라 확충에 힘쓰고 있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