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용량 6MW급 풍력터빈 개발로 육상풍력 시장점유율 확대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풍력발전 전문기업 유니슨은 국내 육상 최대 용량인 6MW급 육상풍력터빈 개발 국가과제에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주관하는 2차 신재생에너지R&D 사업으로 총 230억원 규모다. 사업기간은 지난 7월부터 오는 2029년 6월까지 총 48개월이다. 이 회사는 6MW급 풍력터빈 기본 및 상세 설계, 인증, 실증 등 개발 전반을 주관하며 공동 연구개발기관으로 하이닥코리아,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주과학기술원이 참여한다.
국내 풍력 시장은 발전 효율성과 비용 절감을 위해 대형화가 가속화되고 최근에는 노후 육상풍력단지의 리파워링이 확대되고 있다. 아울러 정부 신재생에너지 보급 정책에 따라 대형 육상풍력터빈 개발 확대도 추진되고 있다. 산악지형이 많은 국내 환경에 적합한 고출력 육상터빈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 |
유니슨 로고. [사진=유니슨] |
유니슨은 기존 육상터빈 개발·설치 경험을 기반으로 국내 지형과 풍황에 최적화된 6MW급 국산 최대 육상 풍력터빈을 국가과제 수행을 통해 개발하게 됐다. 신제품은 국내 설치 환경을 고려한 중·저풍속 대응 설계와 태풍·지진 등 자연재해에 대한 내구성을 반영한 구조로 설계된다.
회사 관계자는 "모듈형 구조를 적용해 운송 편의성과 설치 효율성을 높이고 주요 부품은 국산화를 전제로 개발이 이뤄질 예정"이라며 "자체 개발한 제어 알고리즘을 탑재해 난류가 심한 지역에서도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고 향후 8MW까지 확장성을 고려한 개발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번 과제를 통해 국내 대형 풍력터빈 인프라 구축과 경쟁력 확보는 물론 외산 풍력발전기 대체와 일자리 창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등 다양한 파급효과가 기대된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유니슨 관계자는 "이번 과제 선정으로 대형 육상풍력터빈 개발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게 됐다"며 "이를 통해 국내 지형에 최적화된 6MW급 고용량 육상풍력터빈을 국산 기술로 완성해 외산 대체와 매출 증대를 이끌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10MW급 해상풍력터빈 수주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