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합의 불구 美 상무장관의 투자 선이행 요구로 '제자리'
투자 집행 지연·안보 리스크 의심에 러트닉 장관 부담 커져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반도체를 아랍에미리트(UAE)에 공급하기로 한 수십억 달러 규모의 계약이 체결 5개월이 지나도록 진전이 없어,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미 행정부 고위 관계자들 사이에서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고 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단독 보도했다.
올해 5월 발표된 계약에 따르면, UAE는 매년 수십만 개에 달하는 엔비디아 반도체를 공급받는 대가로 미국에 대한 투자를 약속했다. 하지만 수개월 간의 협상 끝에도 투자 집행이 이뤄지지 않아 행정부 관계자들조차 그 이유를 알지 못한 채 당혹스러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WSJ는 계약 성사 여부는 사실상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 손에 달려 있는데, 일부 관계자들은 UAE가 약속한 미국 내 투자를 마무리하기 전까지 반도체 공급 승인을 내주지 않겠다는 입장을 러트닉 장관이 고수하면서 협상이 지연되는 것이라고 전했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좌)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 [사진=블룸버그] |
러트닉 장관과 일부 행정부 관계자들은 올 여름 UAE가 중국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가안보 리스크를 우려했는데, 이 반도체가 중국 AI 산업에 흘러 들어갈 수 있다는 의심이 계약 지연의 또 다른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매체는 이번 협상이 러트닉 장관에게도 상당한 정치적 부담이라면서, 세계 최대 기업 엔비디아와의 긴장이 고조된다면 백악관과 빅테크 간 관계에도 큰 시험대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러트닉 장관은 최근 고율 관세 정책과, 테크 기업들이 선호하는 H-1B 비자 신청자들에게 부과되는 10만 달러의 신규 수수료 문제로도 비판을 받아왔다.
황 CEO와 일부 엔비디아 임원들은 러트닉 장관의 '지연 전술'과 느린 진행 상황에 대해 다른 행정부 인사들에게 불만을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백악관 인공지능(AI) 정책 책임자를 맡고 있는 데이비드 색스와 행정부 내 다른 인사들도 불편한 기색을 내비쳤다.
한 고위 행정부 관계자는 "러트닉 장관이 계약을 지연시키지는 않았다"고 했지만, 다른 관계자들은 그가 사실상 협상을 늦추고 있다고 반박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UAE는 투자와 반도체 공급을 1대1 비율로 맞추는 조건으로 합의를 진전시키고 있다. 즉, 올해 말까지 최소 10억 달러를 미국에 투자하는 대가로 최소 10억 달러 상당의 엔비디아 반도체를 공급받는 구조다. 다만 반도체 대금은 별도로 지불해야 한다고 다른 소식통은 전했다.
한 엔비디아 고위 임원은 황 CEO와 다른 경영진이 불만을 드러낸 적이 없으며, 이번 협상 과정에 대해 우려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이번 보도에 대해 색스 측 대변인은 논평을 거부했고, UAE 외교부도 답변하지 않았다.
WSJ는 황 CEO가 공개 석상에서는 러트닉 장관을 치켜세웠으며, 그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면서 양국 모두 자사의 반도체에 의존하도록 만들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