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산업·예산 3중 문제…보훈부 근본 대책 시급"
[진주=뉴스핌] 남경문 기자 = 국가보훈부 관할 국립묘지에서 구입하는 꽃의 대부분이 중국산 조화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 인해 발생한 폐조화 처리비용이 최근 6년간 36억 원에 달해 예산 낭비와 환경오염 논란이 커지고 있다.
4일 국회 강민국 의원실(국민의힘·진주시을)이 국가보훈부로부터 제출받은 '국립묘지 조화 구매 및 처리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해 7월까지 국가보훈부 산하 국립묘지에서 구입한 꽃은 61만 3511개로, 총 10억 7483만 원이 집행됐다.
![]() |
강민국 국민의힘 국회의원 [사진=강민국 의원실] 2024.07.24 |
이 가운데 조화가 53만 7257개(87.6%)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이에 투입된 예산은 9억 6116만 원(89.4%)이었다.
묘지별로는 국립현충원이 50만 2,849개의 조화를 사들여 전체의 93%를 차지했고, 예산도 9억 원 이상이 집행됐다. 국립민주묘지가 2만 7504개(5.1%), 6개 호국원 중에서는 영천·이천·제주호국원이 6,904개를 구매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대량 구입된 조화는 매년 막대한 폐기물을 양산하고 있다. 2020년부터 올해 7월까지 국립묘지에서 발생한 폐조화는 총 1,043t으로, 처리비용은 3억 5939만 원이 들었다. 국립현충원에서만 574t이 발생했고, 이를 처리하는 데 2억 원 이상이 소요됐다. 폐조화 발생량도 해마다 늘어 2022년 101t, 2023년 108t, 2024년 117t으로 증가 추세다.
문제는 이 조화 대부분이 중국산이라는 점이다. 한국화훼자조금협의회에 따르면 국내 유통 조화의 99%가 중국산이며, 매년 2,000톤 이상이 수입되고 있다.
강 의원은 "6·25전쟁 당시 중공군에 희생된 순국선열들도 현충원에 안장돼 있는데, 그 묘역에 중국산 조화를 올리는 것은 도의적으로도 부적절하다"면서 "중국산 조화는 인체 유해물질을 포함해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국내 화훼산업에도 피해를 주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보훈부는 산하 국립묘지의 조화 구매 실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조화 구매 제한과 반입 금지 등 중장기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근본적인 개선을 촉구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