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뉴스핌] 우승오 기자 =용인특례시가 '백암농요'를 향토무형유산 제5호로 지정·고시했다.
12일 시에 따르면 '백암농요'는 처인구 백암면 일원에 전승된 전통 농사 소리로, 현재 '백암농요보존회'가 중심이 돼 전승과 보존 활동을 이어간다.
![]() |
용인시가 향토무형유산으로 지정·고시한 '백암농요' 가래질 장면. [사진=용인시] |
옛부터 곡창지대이자 교통 요지로 알려진 백암에서 발달한 농사문화 일면을 보여주는 대표 향토 예술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더욱이 백암면 가창리 일대에서 오랫동안 구전된 농요를 계승하려고 지난 2002년 백암농요보존회를 결성하면서 재현 활동을 본격 시작됐다. 보존회는 전통 창법을 전승하고자 정기 전수교육과 공연 활동을 꾸준히 펼친다. 그 결과 지난 2019년과 2021년 경기도민속예술제에서 우수상, 2023년에는 최우수상을 수상하면서 예술성도 인정받았다.
'백암농요' 노랫말은 벼농사 전 과정을 그대로 담은 점이 특징으로 ▲가래질 소리▲모 찌는 소리▲모내기 소리▲논매기 소리로 구성했다. 시는 '백암농요'를 향토무형유산으로 지정함에 따라 할미성대동굿, 경기향토소리, 포곡상여놀이, 사기장을 합쳐 향토무형유산 5개 종목을 보유하게 됐다.
seungo215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