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대학생 공동부검 합의 후 운구 예정"
"스캠 피해자 구출, 한·캄 공동 대응 추진"
"피해자 구출·귀국자 재유입 차단 병행"
"국내서 불법 유인·송출 행위 엄중 처벌"
[서울=뉴스핌] 박성준 박찬제 기자 = 정부가 캄보디아 내 온라인 스캠(사기) 산업에 연루된 한국인 감금·피해 사건이 확산되자 외교·치안 합동대응에 나섰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15일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정부합동팀은 캄보디아 고위 당국자들과 면담해 피해자 구출, 범죄자 단속, 치안 강화 노력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며 "양국 간 스캠 공동대응 체계 구축과 함께 캄보디아 경찰 내 '코리안데스크' 설치도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외교부 2차관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 등이 포함된 정부합동팀을 캄보디아로 급파했다.
위 실장은 "캄보디아 스캠 산업에는 여러 국적의 약 20만 명이 종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그중 한국인도 상당수"라며 "정확한 숫자는 확인 중이지만 약 1000명 남짓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올해 1~8월 현지 공관에 접수된 감금·폭행 등 피해 신고는 330여 건이며, 이 중 약 80%가 해결됐다"고 덧붙였다.
![]() |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 [사진=KTV] |
위 실장은 "지난 8월 현지에서 한 대학생이 사망한 사건이 발생하면서 국내 관심이 커졌다"며 "캄보디아 정부와의 공동부검 절차가 합의돼 조만간 시신 운구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귀국한 피해자 중 일부가 다시 현지 스캠센터로 돌아가는 사례가 발생하자 국내 재유입 차단 대책을 병행하기로 했다.
위 실장은 "대사관의 도움으로 귀국한 일부가 자발적으로 재가담하는 경우가 있어, 고수익 일자리로 현혹되는 구조를 차단해야 한다"라며 "국내에서는 불법 유인·송출 행위에 대해 엄중 처벌하고 예방 조치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캄보디아 내 범죄 다발지역에 대한 여행경보 상향도 추진한다. 위 실장은 "캄보디아 스캠 산업의 주요 피해자는 한국인이며, 주 대상 역시 한국 국민"이라며 "캄보디아 현지 교민·기업·관광업계가 2차 피해를 입지 않도록 언론이 과도한 반감보다는 경각심 제고에 함께해달라"고 당부했다.
위 실장은 "이번 사태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 해외 불법 취업 유인과 스캠 피해를 근절하겠다"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안전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parksj@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