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李在明将参加韩-东盟特别峰会并发布新蓝图

기사입력 : 2025년10월27일 07:54

최종수정 : 2025년10월27일 07:54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纽斯频通讯社首尔10月27日电 韩国总统办公室当地时间26日表示,在韩—东盟(ASEAN)关系将于2029年迎来建立40周年之际,将举办韩—东盟特别峰会并提出推进"全面战略伙伴关系"(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CSP)愿景。

图为当地时间26日,韩国总统办公室室长魏圣洛在马来西亚吉隆坡举行记者会。【图片=KTV截图】

国家安保室室长魏圣洛当天下午在马来西亚吉隆坡新闻中心举行简报会称:"这一伙伴关系是东盟与对外国家建立的最高级别关系,总统李在明27日上午将出席韩—东盟峰会"。

魏圣洛说:"韩国将发布的愿景是利用CSP这一缩写来构成,C'代表实现梦想与希望的助力者(contributor);'S'代表通往增长与创新的跳板(springboard for growth and innovation);'P'则意味着地区和平与稳定的伙伴(partner for peace and stability)。"

他特别说明,为根除近期突出的跨国犯罪,将提出包括韩国警方与东盟警务合作机构(ASEANAPOL)联合办案在内的韩-东盟合作方案。

魏圣洛表示,韩国政府基于东盟重要性,与东盟各国领导人展开积极外交。除今日加入东盟的东帝汶外,与东盟约10个国家的大多数领导人都通过会面、通话或书信交换保持沟通。作为李在明政府成立后的首位国宾,越共中央总书记已访韩;在本次亚太经合组织(APEC)庆州峰会上,印尼、新加坡、文莱领导人将出席。

谈及东盟的重要性,魏圣洛指出:"在经济上,东盟国内生产总值(GDP)为3.8万亿美元,经济体量位居世界第五;6.7亿人口使其成为全球第3大重要市场与生产基地。在地缘战略上,东盟处于连接印度洋与太平洋的要冲位置;承载韩国贸易货运量逾50%、原油进口量逾90%的南海海上航线就在东盟区域内。"

他补充道,东盟已是韩国第三大贸易对象国、投资目的地与工程承包市场,同时也是韩国公民每年出境访问人数最多的海外目的地(约1000万人次)。

关于李在明与美国总统特朗普会面的可能性,魏圣洛表示:"日程是否重叠尚不明确,但也有可能会面。"

关于在东盟+3(韩中日)峰会期间与日本新任首相高市早苗的"短暂会面"可能性,魏圣洛称:"两国首脑或短暂相遇,我们已作相应准备,但时间重叠恐不会太长。正式磋商与对话大概率将借在庆州举行的APEC峰会进行。"

对外界提及"借APEC峰会契机,特朗普表示想会见朝鲜国务委员长金正恩"的朝脑首脑会谈可能性,魏圣洛回应:"目前并无特别确切的信息,但会做一定程度准备。"

另外,韩国总统李在明26日下午抵达马来西亚吉隆坡并于当晚与当地侨胞共进晚餐、举行座谈。

翌日,李在明的首项日程为与柬埔寨首相洪玛内举行首脑会谈。双方将就发展韩—柬战略伙伴关系及共同应对网络诈骗等议题进行协商。

同日上午举行的韩—东盟峰会上,韩国将提出推进韩—东盟"全面战略伙伴关系"蓝图;在随后的东盟+3(韩中日)峰会上,将表明加强东盟与韩中日合作的立场。

当天下午,李在明还将与今年担任东盟轮值主席国的马来西亚总理安瓦尔举行会谈,围绕深化战略伙伴关系以及在贸易、投资、基础设施、国防产业等领域加强务实合作进行讨论。

与东盟相关的系列峰会将持续至27日晚。但为准备在庆州举行的APEC峰会,李在明将于27日下午启程回国。其余东盟相关议程将由外交部长赵显与通商交涉本部长吕翰九率团继续推进。(完) 

韩国纽斯频(NEWSPIM·뉴스핌)通讯社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공무원 당직제' 76년만에 전면 개편 [세종=뉴스핌] 김범주 기자 = 1949년 도입된 공무원 당직 제도가 76년만에 처음으로 전면 개편된다. 무인 전자경비장치 등 도입 여부에 따라 재택당직을 적극 도입하고, 인공지능(AI) 민원응대 시스템도 도입된다. 인사혁신처는 이 같은 내용을 반영한 '국가공무원 복무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한다고 24일 밝혔다. 당직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AI 당직 민원 시스템을 통한 신속한 민원응대가 이번 개정안의 핵심이다. 이번 개정안은 크게 재택당직 확대, 상황실 중심 당직 전환, 통합당직 운영, 인공지능 민원응대 도입 및 소규모 기관 당직 감축 등 4가지 측면에서 추진된다. 지방자치단체 당직근무 유형 예시[제공=인사혁신처] 우선 무인 전자경비장치와 통신체계가 마련된 기관의 경우, 인사처나 행정안전부와의 사전 협의 절차 없이 자율적으로 재택당직을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또 기존 2~3시간이었던 사무실 대기시간은 1시간으로 단축된다. 외교부, 법무부 등 24시간 상황실을 운영하는 기관은 기존 당직실 대신 상황실에서 당직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조정된다. 당직 부담이 큰 기관은 인력 보강이나 인원 조정이 가능하게 했다. 같은 청사나 인접 지역에 위치한 여러 기관은 협의를 통해 당직 운영을 '통합'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전청사 내 8개 기관이 각각 1명씩 당직을 서던 기존 방식 대신, 앞으로는 3명의 통합당직 근무자가 8개 기관을 관리하는 방식이다. 야간이나 휴일에 전화 민원이 빈번한 기관에는 AI 당직 민원 시스템이 도입된다. 민원은 국민신문고로 연계하고, 화재나 범죄는 119·112 신고로 연결된다. 긴급 사안은 당직자에게 직접 연결되는 시스템이 도입된다. 이외에도 24시간 상황실 운영 기관의 일반 당직이 폐지되면 공무원들이 본연의 업무에 더욱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사처는 연간 약 169억~178억원 규모의 예산 절감 효과와 함께 356만 근무시간이 추가 확보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동석 인사처장은 "시대 변화에 맞지 않는 비효율적인 당직 제도는 공무원들의 불필요한 업무 부담을 가중하고 공직 활력을 저해하는 요인"이라며 "실태조사와 현장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 만큼, 공무원들이 업무에 더욱 집중하고, 국민에게 보다 질 높은 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wideopen@newspim.com 2025-11-24 12:00
사진
카카오톡 '친구탭'-목록형 중 택일 [서울=뉴스핌] 남정훈 기자 = 카카오톡의 대표 기능 중 하나인 '친구탭'이 다음 달부터 기존의 목록형 방식 UI(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다시 이용 가능해질 전망이다. 23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내부 테스트를 거쳐 다음 달 정식 업데이트에서 두 가지 UI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현재 적용돼 있는 소셜미디어형 친구탭과, 기존처럼 단순하게 친구 목록만 표시되는 목록형 UI 중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지난 9월 경기도 용인 카카오AI캠퍼스에서 열린 'if(kakao)25' 컨퍼런스 현장.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기조연설을 통해 카카오톡 개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양태훈 기자] 당초 업계에서는 카카오가 이달 안에 기존 UI 복구를 마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지만, 카카오는 안정성 확보 및 일부 기능 보완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업데이트 시점을 한 달가량 늦춘 것으로 전해졌다. 친구탭 개편은 지난 9월 23일 열린 개발자 행사 '이프 카카오(if(kakao)25)'에서 공식 공개됐다. 당시 홍민택 카카오 최고제품책임자(CPO)는 "프로필이 단순한 정보 표시에서 벗어나 개인의 취향과 일상을 담아내는 형태로 확장될 것"이라며 새로운 방향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개편 직후 사용자 불만이 급격히 늘었다. 피드 형식의 화면이 메신저 본래 기능과 맞지 않는다는 의견과 함께 광고 노출이 지나치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실제로 개편 이후 카카오톡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이용자 평점이 1점대까지 떨어지는 등 서비스 신뢰도에도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이용자 불만이 이어지자 카카오는 결국 연내에 기존 UI를 되돌리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 역시 이달 7일 3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이용자 의견을 바탕으로 친구탭 개편을 포함한 전반적인 서비스 개선을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언급하며 기존 방향 수정 의지를 재확인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올해 4분기 내 목록형 친구탭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하겠다는 계획은 변함이 없다"라며 "이용자 편의성 강화를 위해 다양한 의견을 계속 수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wcn05002@newspim.com 2025-11-23 14:21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