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2025년 겨울 스포츠의 키워드는 '하위권 반란'이다. 프로배구, 프로농구의 언더독들이 시즌 초 약속이나 한 듯 놀라운 반등을 일으키며 판도를 뒤집어놓았다.
V리그 여자부 페퍼저축은행과 도로공사, 남자부 OK저축은행 그리고 프로농구 삼성까지. 약체로 평가받던 팀들이 전력 보강과 전술 개편을 통해 판도를 흔들며 새 시즌의 주인공으로 부상했다.
![]() |
|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페퍼저축은행의 돌풍을 이끌고 있는 시마무라 하루요(오른쪽)와 조이 웨더링턴이 6일 GS칼텍스와 홈 경기에서 활짝 웃고 있다. [사진=KOVO] 2025.11.06 zangpabo@newspim.com |
◆ 여자배구, '만년 약체'들의 상위권 점령
V리그 여자부는 지난 시즌과 순위표가 정반대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제 1라운드가 진행 중이긴 하지만 1위 한국도로공사(승점 11·4승 1패), 2위 페퍼저축은행(승점 10·4승 1패), 4위 GS칼텍스(승점 8·2승 2패)는 지난 시즌 5~7위 팀이다. 신생팀 페퍼저축은행은 4년 연속 꼴찌(7위)였다.
상위권을 지키고 있는 팀은 3위 현대건설(승점9·3승 1패)이 유일하다. 지난해 챔피언으로 김연경이 은퇴한 흥국생명(승점5·1승 4패)은 5위에 턱걸이하고 있다.
페퍼저축은행은 아시아쿼터로 영입한 일본 국가대표 출신 미들블로커 시마무라 하루요와 미국 출신 조이 웨더링턴이 맹위를 떨치고 있다. 선발부터 벤치까지 고른 득점력이 돋보이며, 승리를 하면서 자신감과 조직력이 올라 왔다는 평가다.
![]() |
|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2025.11.07 zangpabo@newspim.com |
◆ 남자배구, '부산 이전 효과' OK저축은행
V리그 남자부에서는 지난 시즌 7승 29패로 압도적 꼴찌(7위)에 그쳤던 OK저축은행이 4위(승점 7·2승 3패)에 올라 있는 것이 눈에 띈다.
'봄배구 전도사'로 불리는 국가대표 사령탑 출신 신영철 감독이 부임해, 체력훈련과 멘털 트레이닝을 병행하며 선수들에게 '이기는 배구'를 강조했다. 여기에 신 감독 특유의 노련한 용병술과 조직력 강화가 반등의 밑바탕이 됐다는 분석이다.
지난 시즌 부상에 시달렸던 국가대표 세터 이민규, 공격수 차지환 등이 건강하게 시즌을 소화하고 있으며 베테랑 전광인이 합류해 리더십과 수비 안정감까지 더했다. 새 외국인 선수 디미타르 디미트로프, 트렌트 오데이 등을 앞세워 득점력과 블로킹이 동시에 상승했다. 안산에서 부산으로 연고를 옮기면서 선수단 분위기가 올라갔다.
![]() |
| 앤드류 니콜슨. [사진=삼성] |
◆ 남자농구, 명문가 삼성의 자존심 회복
전통명문 삼성은 페퍼저축은행과 마찬가지로 최근 4년간 연속 꼴찌(10위)에 머물렀다. 그러나 이번 시즌은 다르다. 6승 6패로 승률 5할을 맞추며 6위에 올라 있다. 최근 4승 1패의 상승세를 타고 있다.
삼성은 지난 시즌이 끝난 뒤 외곽포 강화에 집중했다. 3점 슈터 이근휘, 포인트가드 한호빈 등 즉시 전력감을 영입했다. 검증된 외국인 포워드 앤드류 니콜슨을 1옵션으로 기용해 내·외곽 득점에 안정감을 부여했다. 무엇보다 트랜지션 디펜스와 스위치 수비 등 전술을 개편했으며, 에너지 레벨 높은 선수들의 기동력과 리바운드가 업그레이드된 게 전력 상승의 비결로 꼽힌다.
![]() |
|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한화 김경문 감독이 비로 취소된 9월 17일 삼성과 플레이오프 1차전에 앞서 선수들의 훈련을 지켜보고 있다. [사진=한화] 2025.10.18 zangpabo@newspim.com |
◆ 프로야구, '9-10-10-10-9-8' 한화 돌풍
한화는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9-10-10-10-9-8위를 한 팀이다. 하지만 올해 환골탈태에 성공하며, 33년 만에 전반기 1위를 차지했다. 한국시리즈에선 LG에 1승 4패로 맥없이 물러났지만 최고 인기 팀으로 급부상했다.
사상 최강의 외국인 원투펀치 코디 폰세와 라이언 와이즈의 영입이 결정적이었다. 베테랑 류현진과 신예 문동주, 정우주 등 신구 조화가 더해지며 폭발력을 일으켰다. 평가가 엇갈리긴 하지만 '덕장' 김경문 감독이 추구하는 '믿음의 야구'가 선수단의 체질 개선에 한몫을 했다는 평가다.
여자프로농구는 16일 개막한다. 2023~24시즌 꼴찌 BNK가 지난 시즌 2위 돌풍을 일으켰듯이 여자 농구에선 어떤 이변이 일어날지 관심이 모아진다.
zangpabo@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