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공항 활주로 길이 두고 주민 민원 빗발쳐
"세계 최악 기상환경, 안전마진 부족" 지적에
국토부 "현실적으로 불가"
[울릉=뉴스핌] 정영희 기자 = 울릉공항 건설을 둘러싸고 지역 주민들이 활주로 연장과 항공기상 인프라 확충을 강하게 요구하고 나섰다. 정부는 공정률이 70%에 육박하는 현재 상황을 고려했을 때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맞서고 있다.
![]() |
| 울릉 주민으로 구성된 울릉공항 대책위원회가 6일 울릉공항 건설 현장사무소 앞에서 활주로 연장을 요구하는 대책 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정영희 기자] |
6일 울릉 주민들은 울릉공항 건설 현장사무소에 모여 공항 활주로 연장과 항공기상 인프라 확충을 강하게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안전한 울릉공항 건설을 위한 입장문'을 내고 "울릉공항은 연평균 강수일수 144일, 순간풍속 25노트(초당 12.9m) 이상인 날이 연 138일에 달하는 국내 최악의 항공 기상환경 지역에 건설되고 있다"며 "이런 조건에서 1200m 활주로는 안전운항에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울릉공항은 울릉군 사동리 일원 약 13만㎡ 부지에 지어지는 한국 1호 도서공항으로, 1200m 길이 활주로와 여객터미널이 조성된다. 총사업비는 8792억원이다. 2014년 착공해 2027년 12월 완공을 바라보고 있다. 비행기 운항이 시작되면 서울~울릉 사이 소요시간은 약 1시간으로 단축된다.
울릉공항은 2023년 항공기 계기를 참고해 이착륙하는 방식의 2C 계기비행에서 조종사가 눈으로 지상의 지형지물과 항로상 장애물을 확인하며 비행하는 3C 시계비행'으로 설계가 변경됐다. 소형항공운송사업의 시장 여건을 감안하고 좌석 수를 50석에서 80석까지 늘리기 위한 선택이었다. 주요 제작사가 50석 이하 항공기를 잇따라 단종하면서 해당 항공기 및 부품 수급이 불안정하다는 측면도 있었다.
주민들은 "50인승 항공기 기준으로 설계된 활주로가 여전히 그대로 추진되고 있으나, 현재 운항 예정인 80인승 ATR-72 항공기의 이륙거리는 1315m"라며 "실제 운항 시 안전마진이 부족하고, 기상 악화 시 결항률 급증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는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50인승인 ATR-42 기종 생산이 중단되면서 80인승 ATR-72로의 운항을 선택했으며, 이에 맞춰 활주로 길이와 착륙거리도 조정된 것"이라며 "ATR-72는 1200m 활주로에서 만석 운항이 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있고 항공사도 제한 없이 운항 가능하도 밝힌 상황"이라고 말했다.
주민들은 섬 정주여건 개선과 지역 관광, 국가균형발전이라는 공항 건설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 안전 확보가 전제돼야 한다며 활주로 길이 연장과 안전 인프라 구축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현행 1200m인 활주로를 최소 1500m로 연장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공항 운영을 위한 최소 조건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또 활주로 양측 최소 45m 이상 안전구역 확보, 항공기상 및 바람 레이더 즉시 설치·운용으로 조기 대응 체계를 구축을 주장한다.
정부는 활주로 연장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선을 그었다. 활주로를 연장하려면 추가 사업비만 대략 1조원 이상 들고 사업 기간도 3년 넘게 필요하다는 점에서 고려 자체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문제라는 이유에서다. 정말 필요한 경우 개항 이후 운항 안전성이나 수요 증가 추세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연장 대상 활주로 구간의 최대 수심은 60m로, 만약 시행할 경우 세계에서 가장 깊은 항만 공사에 해당한다"며 "기초 시공을 마친 케이슨(방파제 역할을 하는 대형 해상 구조물)도 31m 기준으로 설계돼 60m로 확장하면 불확실성이 크며 항행안전구역, 착륙대 폭 등도 모두 변경해야 하므로 단순히 길이만 늘리는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안전 강화와 결항률 완화 등을 위해선 시계비행뿐만 아니라 계기비행이 가능하도록 항행안전 및 등화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내년 1월까지 한국항공협회와 경북연구원이 공동으로 진행하는 관련 연구용역을 마치면 본격적인 시행에 나선다.
chulsoofriend@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