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RAN 적용 성과 확인…무선 혁신 논의
글로벌 파트너와 차세대 통신 협력 확대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삼성전자는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마운틴뷰에서 '실리콘밸리 미래 통신 서밋 2025'를 열었다고 14일 밝혔다. 행사는 인공지능(AI) 중심 통신망의 가능성을 주제로 진행됐다.
올해 서밋에는 세계 이동통신사와 제조사, 정부 기관, 학계 등 100여 명의 전문가가 참여했다. 삼성전자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한 AI 내재화 기술 성과를 소개하며 6G 기술 리더십을 제시했다.
![]() |
| 미국 실리콘밸리 마운틴뷰에서 진행된 '실리콘밸리 미래 통신 서밋 2025' 행사장 전경 [사진=삼성전자] |
행사는 3개 주제로 구성됐다. 첫 주제는 증강현실(AR)·확장현실(XR)과 감지·통신 융합 등 AI 기반 신규 서비스였다. 두 번째 주제는 6G 핵심 기술인 AI-RAN(Radio Access Network)의 발전과 무선망 성능 최적화였다. 세 번째 주제는 AI 내재화 기술이 유무선망과 서버에 미치는 영향이었다. 네트워크 자동화와 자원 관리 고도화, 예측 기반 유지 보수 사례도 논의됐다.
삼성전자는 파트너사와 개발한 AI-RAN 기술을 시연했다. 기지국 장비가 스스로 판단하며 품질을 조정하는 구조를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삼성전자는 이동통신사와 연구소, 협의체와 협력을 넓히고 있다. 올해 초 국내 이동통신사와 일본 소프트뱅크, KDDI리서치와 협력을 시작했다. 글로벌 컨소시엄 '버라이즌 6G 혁신 포럼'에도 참여한다.
정진국 삼성전자 삼성리서치 차세대통신연구센터장은 "AI를 통신 시스템에 통합해 사용자 경험과 운영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며 "업계와 협력을 넓혀 차세대 통신 기술 발전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