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중국과 일본이 최근의 갈등 사태를 진정시키기 위해 외교 당국자간 협의의 자리를 가졌지만 별 소득 없이 무위로 끝났다. 중국은 일본산 수산물 수입 중단 등 추가 보복에 나섰다.
일본 외무성의 가나이 마사아키 아시아대양주국장은 18일 베이징에서 중국 외교부의 류진쑹 아시아국장과 수 시간에 걸쳐 협의를 진행했다.
가나이 국장은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의 대만 유사 관련 국회 답변이 일본 정부의 기존 입장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고 설명하면서도, 답변을 철회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류 국장은 다카이치 총리 답변의 철회를 재차 요구하면서 양측의 주장은 평행선을 달렸다.
가나이 국장은 협의에서, 중국의 쉐젠 주오사카 총영사가 다카이치 총리를 겨냥해 "더러운 목은 베어버리겠다"고 엑스(X)에 게시한 것에 대해 거듭 강하게 항의하고, 중국 측이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했다.
중국 당국이 발표한 일본 여행 자제 권고에 대해서도 "일본 국내의 치안은 결코 악화되지 않았다"고 반박하며 적절한 대응을 촉구했고, 중국 내 일본인의 안전 확보도 함께 요구했다.
중국 외교부의 마오닝 대변인은 기자회견에서, 류 국장이 협의에서 다카이치 총리 발언에 대해 "엄정한 문제 제기"를 하고 항의를 표했다고 밝혔다.
류 국장은 총리 발언이 대만을 중국의 일부로 보는 '하나의 중국' 원칙이나, 1972년 중일 공동성명 등 양국 간 네 개의 정치 문서의 정신에 반한다고 주장하며 "중일 관계의 정치적 기반을 근본적으로 훼손하는 것으로, 중국 국민의 분노와 비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마오 대변인은 회견에서 "일본 측은 잘못된 발언을 철회하고, 구체적 행동을 통해 오류를 인정하고 편향을 바로잡아 정치적 기반을 지킬 것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기하라 미노루 일본 관방장관은 기자회견에서 다카이치 총리 답변이 "기존 정부 입장을 바꾸는 것이 아니다"라며 철회하지 않을 방침을 거듭 밝혔다.
![]() |
| 일본 외무성의 가나이 마사아키 아시아대양주국장(왼쪽)과 중국 외교부의 류진쑹 아시아국장 [사진=로이터 뉴스핌] |
◆ 中, 수산물 수입 중단 등 대일 추가 보복
중국은 일본에 대한 보복 공세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교도통신은 중국 정부가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중단한다고 일본 측에 공식 통보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19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이날 오전 외교 경로를 통해 해당 조치를 전달했다.
다카이치 총리 발언 이후 중국은 일본 여행·유학 자제를 권고하고 일본 영화 상영을 연기하는 등 보복성 조치를 잇달아 내놓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수산물 수입 중단 조치까지 추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은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가 시작됐던 2023년 8월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중단했다. 이후 올해 6월 후쿠시마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한 수산물 수입을 재개한다고 발표하면서 수입 재개 절차에 들어갔었다.
중국의 푸충 유엔 대사는 18일(현지시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개혁을 논의하는 회의에서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을 비판하며 "전후 국제질서를 파괴하는 행위다. 이런 나라가 안보리 상임이사국이 될 자격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
안보리는 미국·영국·프랑스와 중국·러시아 등 5개 상임이사국으로 구성돼 있다. 일본은 다양한 국가의 의견을 폭넓게 반영하기 위해 상임이사국 확대를 지속적으로 주장해 왔다.
푸 대사는 총리 발언을 두고 "극도로 위험하며 중국의 내정에 난폭하게 간섭하는 행위"라고 문제 삼았다. 또한 일본이 "평화의 길을 걷겠다는 기본적 약속에서 공개적으로 일탈했다"며 비난했다.
그는 대만 문제와 관련해서는 "세계에는 하나의 중국만 존재한다. 대만은 중국 영토에서 분리할 수 없는 일부"라고 강조했다. 이어 다카이치 총리 발언이 대만을 중국의 일부로 규정하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명백하게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 |
| 중국 베이징의 한 수산물 시장. [사진=로이터 뉴스핌] |
goldendog@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