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4㎞ 구간, 4690억 원 투입
지상 구조물 최소화, 약자 배려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24일 기공식을 통해 '우이신설 연장선 도시철도 건설공사'의 시작을 알렸다. 이날 행사에는 오세훈 서울시장과 오언석 도봉구청장 등 관계자와 주민들이 참석해 사업의 출발을 축하했다.
우이신설 연장선은 2017년부터 운영 중인 솔밭공원역(우이신설선)과 방학역(1호선)을 연결하는 사업으로, 2032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총 연장 3.94㎞ 구간에 정거장 3개소가 신설되며, 총 사업비는 4690억 원이 투입된다.
![]() |
| 우이신설 연장선 노선 [조감도=서울시] |
2010년부터 동북권 지역의 숙원 사업이었던 이 연장선 공사는 도시철도망을 강화해 시민들에게 더 나은 교통 편의를 제공할 전망이다. 우이신설 연장선이 개통되면 기존 우이신설선의 신설동역(1·2호선), 보문역(6호선), 성신여대입구역(4호선)에 더해 방학역(1호선)이 새롭게 환승역으로 추가돼 동북권의 핵심 도시철도 노선으로 거듭난다.
향후 우이신설선 솔밭공원역 이후 구간은 기존의 북한산우이역 방향과 연장선 방학역 방향으로 열차가 나뉘어 운행된다.
신설되는 정거장 3개소의 도보 생활권(반경 500m) 내 생활인구는 약 10만 명으로, 시민들의 도시철도 접근성이 강화될 예정이다. 또 현재 시내버스를 이용할 경우 약 25분이 소요되는 솔밭공원역~방학역 구간이 8분으로 단축돼 시민의 이동 시간이 최대 17분 줄어든다.
시는 사업 추진 시 지상 구조물 최소화, 교통약자 배려·공간 조성, 주민 불편 최소화 등을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필요 없는 지상 구조물을 줄여 도시 미관을 개선하며, 교통약자의 편의를 위한 시설도 마련할 계획이다.
모든 역은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Barrier Free) 인증 설계를 도입하고, 역사 내에 문화 공간과 미술 장식품을 조성해 시민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도로 개착을 최소화하고, 터널과 정거장을 동시에 시공해 공사 기간을 줄여 주민 불편을 해소하고 안전한 주거환경을 유지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시는 이 프로젝트가 동북권 교통 소외 지역의 불편을 해소하고 강북의 균형발전을 도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해 개발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 부여와 규제 완화 조치를 밝혀 강북권의 대개조를 추진해왔다.
오세훈 시장은 "우이신설 연장선은 쌍문·방학·도봉 등 서울 동북권 주민들의 오랜 염원을 담은 사업으로, 단순히 교통을 이어주는 연장선이 아닌 강북의 잠재력을 깨울 중요한 열쇠"라며 "우이신설 연장선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시민 여러분이 '강북 전성시대'를 일상에서 체감하실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kh9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