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절벽·규제 겹쳐 신규 개업 600명대 추락
폐업은 연중 내내 더 많아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정부 규제와 거래 절벽이 겹치면서 영업 중인 공인중개사 수가 약 5년 만에 11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매매부터 전세까지 전 분야에서 거래량이 줄며 중개업계 침체가 장기화되는 모습이다.
![]() |
| 송파구 모 공인중개소에 아파트 시세 및 건물 매매 광고지가 부착돼 있다. [사진=이호형 기자] |
26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말 영업 중인 공인중개사는 10만9979명으로 집계됐다. 2020년 8월(10만9931명) 이후 처음으로 11만명 선이 무너진 셈이다. 전국 공인중개사 자격증 보유자 55만1879명 가운데 실제 사무실을 운영하는 비율은 5명 중 1명 꼴에 그친다.
신규 개업 중개사 감소는 더욱 뚜렷하다. 같은 기간 전국 신규 개업자는 609명으로 협회의 통계 집계 이후 처음으로 600명대 초반에 머물렀다. 폐업은 872명, 휴업은 91명이었다.
올해 1~10월 누적 개업 중개사는 7634명, 폐·휴업은 1만176명으로 2542명이 순감했다. 이 같은 순유출 흐름은 2023년 2월부터 2년 9개월 째 이어지고 있다.
업계에선 올해 발표된 부동산 대책 영향이 직접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6월 발표한 대책에선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했고, '10·15 대책'은 서울 25개 구와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으면서 거래량이 폭락했다.
협회 관계자는 "부동산 거래량이 늘어야 해결되는 사안"이라며 "정책과 시장 상황, 구매 심리를 전반적으로 검토했을 때 매수세가 회복되긴 쉽지 않아 보여 당분간은 휴폐업이 개업을 앞지르는 상황이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