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가치 제고 위한 결정' 외쳤지만 소통은 없어
'소액주주 권익' 강화 주주연대 취지 잊지 말아야
[서울=뉴스핌] 김연순 기자 = 지난 26일 신약 개발기업 오스코텍의 '주주 소통 간담회' 현장. 이날 오스코텍은 주주들을 직접 만나 최근 회사 경영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의견을 듣는 자리를 마련했다. 자회사인 제노스코100% 완전자회사 편입과 관련 자금 조달, 수권주식수 확대 등을 둘러싸고 소액주주연대와의 이견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마련한 회사와 주주간 소통을 위한 공간이었다.
회사측은 제노스코 편입과 수권주식 확대가 지배구조 정상화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것이라는 입장인 반면, 소액주주연대는 특정 주주의 지분 엑시트(지분 정리)를 돕는 수단이 될 수 있고 지배구조 문제를 심화시킨다며 입장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제노스코의 자회사 편입 시점, 재원 조달 구조, 이사 선임 등도 이견이 좁혀지지 않는 쟁점이다.
회사측과 주주연대가 대립하는 상황이지만 양측 모두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결정"이라고 입을 모은다.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한 소통의 결과물은 무엇이었을까. 소통은 없었다. 정작 '주주연대'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기 때문이다. 주주와 주주가치를 위한 소통 자리에 '주주연대'는 없었다.
![]() |
| 금융증권부 김연순 차장 y2kid@newspim.com |
주주행동 플랫폼 '액트(ACT)' 기반 상장회사들의 소액주주연대는 분산된 소액주주 의결권을 결집해 기업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소액주주의 권익과 목소리를 키우기 위해 만들어졌다. 불투명한 지배구조 등으로 소액주주들이 반복적으로 피해를 보면서도 개별적으로는 행동하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영풍' 사례에서 보듯 소액주주연대는 낮은 PBR(주가순자산비율)과 지배구조 리스크, 주주 소통 부재를 문제 삼고 구체적인 주주가치 제고 방안을 요구하면서 '집단 주주권 행사' 문화 정착에 기여해왔다. 물론 비판에도 직면했다. 소액주주 플랫폼 액트가 경영권 분쟁을 겪는 기업들 사이에서 한 쪽 편을 들어주고 그 대가로 돈을 받았다는 의혹에 휘말리기도 했기 때문이다. 코스닥상장사 크로바하이텍(현 웰킴스하이텍)의 경우 대주주 측과 밀접한 관계를 맺은 인물들이 주주연대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경영권 확보를 시도한 흔적이 드러나기도 했다.
'극과 극'의 사례지만 이들 모두 '주주 가치 제고'를 외쳤다. 회사측과 주주간 대립 과정에서 어느 쪽이 '주주 가치와 권익'을 위한 선택인지는 쉽게 단정할 수 없다. 하지만 경영진이든 주주든 최종 결정에 이르기까지 대화와 소통의 문을 열어놔야 한다는 점은 명확하다.
이런 점에서 소액주주연대의 '주주 소통 간담회' 불참은 아쉬움이 크다. 소액주주의 권익과 목소리를 대변할 소중한 소통의 기회를 스스로 포기했기 때문이다. '반대를 위한 반대'라는 지적도 감수할 수밖에 없다. 오스코텍 소액주주 비율은 전체의 66%에 달한다. 소액주주연대 지분율은 13.64%다. 소액주주연대 설립 취지처럼 66%의 주주가치를 대변하는 건지 13.64%의 집단 논리를 고수하는 건지 스스로에게 되물어볼 시점이다. 한 가지 분명한 건 주주를 위한 소통 자리에 '주주연대'는 없었다는 점이다.
y2kid@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