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우동환 기자] 지난주 미국 자동차업계 '빅3'에 대한 구제자금 지원을 놓고 갈등을 빚었던 미국 의회가 결국 150억~170억 규모의 구제자금을 지원하는 내용의 절충안에 합의하며 희망의 불씨를 이어갔다.
하지만 앞으로 남아있는 의회 표결 결과를 손쉽게 확신할 수 없을 뿐더러, 부실경영 책임에 따른 경영진의 교체 요구 압박은 점점 강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부채 부담으로 인한 경영여건 악화로 여전히 생존이 불투명하다는 전망까지 나오는 등, 미국 의회의 지원이 성사되더라도 '빅3'의 미래가 순탄치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민주당 지도부와 백악관은 친환경 자동차 개발과 관련한 에너지 지원금 250억 달러에서 150억 달러를 제너럴모터스(GM). 포드 크라이슬러 등 자동차 빅3에 지원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동안 7000억 달러의 부실자산구제프로그램(TARP)에서 지원자금을 꺼내와야 한다고 주장해왔던 미주당 낸시 펠로시 의원이 자신의 입장을 수정하면서 합의가 도출 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포드 등 빅3 업체는 이들이 요구했던 총 340억 달러에는 못 미치는 당장 연말까지 급한 불을 끌 수는 있게 됐다.
앞서 GM측은 구제자금으로 180억 달러를 요청했으며 크라이슬러와 포드는 각각 70억달러와 90억달러를 요청한 바 있다.
하지만 청문회에서 절충안을 이끄는 데는 성공했지만 의회 표결에서도 순항할 지는 미지수인 상황이다.
공화당 측은 여전히 빅3의 부실경영에 대해 곱지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으며 여론 역시 호의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구제안이 통과 되더라도 현 경영진의 사퇴는 불가피 할 전망이다.
여기에 오바마 대통령 당선인 역시 "미국 자동차 업계의 붕괴를 지켜 볼 수 없다"며 지원 의지를 밝혔지만 "20년 전에 이뤄냈어야 할 변화를 더이상 주저해서는 안된다"며 경영진 책임 여론에 동조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나섰다.
빅3가 구제자금을 받더라도 미래가 여전히 불투명하다는 전망도 현 경영진을 압박하고 있다.
지난 7일자 영국 가디언지는 "미국 자동차 빅3가 150억 달러의 구제자금을 받러라도 2015년 이후에야 정부의 부채를 갚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신문은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해 2012년은 돼야 시장 상황이 개선될 것이며 그 보다 3년이 더 지나야 이들 업체가 흑자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기에 올해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프린스턴대학 교수는 이날 "결국 미국 자동차산업이 결국 몰락할 것"이라며 부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미국 의회가 빅3의 지원을 검토하고 있는 것은 일시적 조치에 불과하다"며 결국 경기침체로 인해 이들 자동차 업체는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앞으로 남아있는 의회 표결 결과를 손쉽게 확신할 수 없을 뿐더러, 부실경영 책임에 따른 경영진의 교체 요구 압박은 점점 강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부채 부담으로 인한 경영여건 악화로 여전히 생존이 불투명하다는 전망까지 나오는 등, 미국 의회의 지원이 성사되더라도 '빅3'의 미래가 순탄치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민주당 지도부와 백악관은 친환경 자동차 개발과 관련한 에너지 지원금 250억 달러에서 150억 달러를 제너럴모터스(GM). 포드 크라이슬러 등 자동차 빅3에 지원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동안 7000억 달러의 부실자산구제프로그램(TARP)에서 지원자금을 꺼내와야 한다고 주장해왔던 미주당 낸시 펠로시 의원이 자신의 입장을 수정하면서 합의가 도출 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포드 등 빅3 업체는 이들이 요구했던 총 340억 달러에는 못 미치는 당장 연말까지 급한 불을 끌 수는 있게 됐다.
앞서 GM측은 구제자금으로 180억 달러를 요청했으며 크라이슬러와 포드는 각각 70억달러와 90억달러를 요청한 바 있다.
하지만 청문회에서 절충안을 이끄는 데는 성공했지만 의회 표결에서도 순항할 지는 미지수인 상황이다.
공화당 측은 여전히 빅3의 부실경영에 대해 곱지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으며 여론 역시 호의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구제안이 통과 되더라도 현 경영진의 사퇴는 불가피 할 전망이다.
여기에 오바마 대통령 당선인 역시 "미국 자동차 업계의 붕괴를 지켜 볼 수 없다"며 지원 의지를 밝혔지만 "20년 전에 이뤄냈어야 할 변화를 더이상 주저해서는 안된다"며 경영진 책임 여론에 동조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나섰다.
빅3가 구제자금을 받더라도 미래가 여전히 불투명하다는 전망도 현 경영진을 압박하고 있다.
지난 7일자 영국 가디언지는 "미국 자동차 빅3가 150억 달러의 구제자금을 받러라도 2015년 이후에야 정부의 부채를 갚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신문은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해 2012년은 돼야 시장 상황이 개선될 것이며 그 보다 3년이 더 지나야 이들 업체가 흑자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기에 올해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프린스턴대학 교수는 이날 "결국 미국 자동차산업이 결국 몰락할 것"이라며 부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미국 의회가 빅3의 지원을 검토하고 있는 것은 일시적 조치에 불과하다"며 결국 경기침체로 인해 이들 자동차 업체는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