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南 천해성 통일부 통일정책실장 vs 北 김성혜 조평통 서기국 부장
[뉴스핌=이영태 기자] 9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열린 남북장관급회담을 위한 실무접촉에 남측은 남성, 북측은 여성이 각각 수석대표로 나서 '남남북녀'란 말이 새삼 회자되고 있다.
![]() |
남북장관급회담 실무접촉 남측 수석대표인 통일부 천해성 통일정책실장(왼쪽)과 북측 수석대표인 김성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서기국 부장이 9일 오전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만나 남북장관급회담 의제와 장소 등을 조율하고 있다.[사진제공: 통일부] |
남측 수석대표인 천해성 실장은 1964년생으로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후 통일부 인도협력국장과 대변인, 남북회담본부 상근회담 대표 등을 지냈다. 천 실장은 2005년 서울과 평양에서 각각 열린 제15∼16차 남북장관급회담 등 각종 남북 당국 간 회담에 대표로 참여해 풍부한 회담 경험을 갖고 있다.
북측 수석대표인 김성혜 조평통 부장은 대남접촉 경험이 많은 '여성 대남 일꾼'으로 평가된다고 연합뉴스는 보도했다.
1965년생인 김 부장은 2007년 제2차 남북 정상회담에서 남측의 특별수행원을 안내하는 역할을 맡았으며, 2006년에는 6·15 남북 당국 공동행사의 보장성원(안내요원)으로 활동했다.
김 부장은 남측 대표인 천 실장이 참여했던 2005년 제15~16차 남북장관급회담에도 수행원으로 참가해 남북 수석대표는 구면인 셈이다.
김 부장은 또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 이희호 여사가 2011년 12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방북 조문 당시 개성에서 이 여사를 영접하기도 했고, 지난해 2월에는 정명훈 서울시립교향악단 예술감독 일행이 방북했을 때 영접과 환송을 맡았다.
김 부장은 김일성대 출신이라는 설이 돌고 있으며 그를 만나본 남측 인사들은 공통적으로 "매우 똑똑하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북측 대표단 일원인 황충성·김명철도 남북 회담 및 행사 경력이 있는 인물들이다.
1973년생인 황충성은 2010년 남북적십자 회담에서 보장성원으로 활동했으며 2009년 개성공단에 관한 남북 당국 간 제1∼3차 실무회담 대표를 지냈다. 1960년생인 김명철은 2002년 개성공단 실무협의 대표로 활동했고 2000년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경추위) 수행원을 맡은 바 있다.
우리 측 대표단인 권영양(55)·강종우(50) 통일부 과장도 남북회담 등에 다양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뉴스핌 Newspim] 이영태 기자 (medialy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