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속보

더보기

[성장둔화속 위안화강세 진단] 펀더멘탈 양호 반영, 미경제 회복력이 변수

기사입력 : 2013년08월13일 16:47

최종수정 : 2013년08월13일 18:07

 

[뉴스핌=조윤선 기자]  중국 위안화는 올초반 눈에 띄는 강세 행진을 보였다.  중국 경제가 비교적 높은 성장세를 보인데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 선진국들의 양적완화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핫머니까지 유입되면서 위안화가치는 강한 상승세(위안화의 대달러환율 하락)를 나타낸 것이다. 

2분기 들어서는 위안화 환율 추이에 변화가 나타났다.   중국 경제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미국의 양적완화 조기 퇴출이 거론되면서 위안화 가격의 상승세가 크게 주춤해진 것.   중국 경제의 성장전망이 불투명해지면서 단기 국제자금이 외부로 빠져나가고 시중 유동성 결핍에 따른 시장불안이 증폭되면서 위안화 가치의 상승 추세도 멈칫해졌다. 

하지만 중국 경제 앞날에 이렇다할 낙관적인 신호가 감지된 것도 아닌데 최근들어 위안화 가치가 다시 강세 기조를 띄기 시작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위안화 환율에 새로운 변동요인이 나타난 것이 아니라, 위안화 환율이 등락을 반복하면서 통화 가치가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위안화 환율 안정속  강세기조 지속 
   
위안화는 최근 큰 등락을 보이지 않다가 8월들어 뚜렷한 강세를 나타내며  6.1위안 시대에 진입했다.  외환 전문가들은 위안화가 장기적으로 계속 강세 통화로서 모습을 띨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12일 홍콩 상보(商報)는 위안화가 6.1위안대에 진입하면서 달러 당 위안화 환율이 연일 하락세(위안화 가치 상승)를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위안화가 단기적으로는 쌍방향 변동성을 유지할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위안화 가치 상승이 여전히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고 보도했다.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 중간 가격은 지난 9일 6.1668위안을 기록하며 6.17위안선이 붕괴된데 이어, 12일에는 6.1665위안으로 고시돼 여전히 가치 상승세를 유지했다. 지난 8일에는 달러 당 위안화 환율이 장중 6.1143위안까지 떨어지며 위안화가치가 사상최고치를 경신, 6.10위안에 바짝 다가서기도 했다고 홍콩 상보는 전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대체로 위안화 대 달러 환율이 연일 하락세를 지속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향후 중국 경제에 대한 긍정적 전망과 달러 약세를 꼽고 있다.

안방(安邦)컨설팅의 수석 연구원 천궁(陳功)은 "중국 정부가 경제 안정성장을 강조하면서 경제성장률 하한선을 7%로 명확히 한 후, 향후 경제 하강 여지가 크지 않을 것이란 시장 안정 심리가 위안화 강세를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특히 미국의 양적완화 퇴출 시기가 위안화 환율에 큰 변수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다. 푸단(復旦)대 금융학원 천쉐빈(陳學斌) 부원장은 "미국의 양적완화 퇴출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달러 대비 위안화가치는 소폭 내림세를 보일 것이나 위안화 대 기타 통화에 대한 가치 상승은 여전히 지속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즉 양적완화가 철회되면 위안화 가치가  달러에 대해 다소 하락세를 보일 것이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유효환율로 볼 때 위안화가 계속해서 가치 상승세를 유지할 것이란 분석이다.

교통은행 금융연구센터 어융젠(鄂永健) 연구원은 "중국 경제성장 둔화와 미국 경기 회복이라는 배경 속에서 위안화 환율은 단기적으로 변동이 예상되나 대체로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며 "위안화 가치 상승의 심층적 요인은 수출주도형 경제 정책에 있다"고 지적했다. 

당국의 수출주도형 경제 정책 탓에 무역 수지가 흑자 기조를 유지하면서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는 것.  여기에다 경제 성장 구조의 내수전환이 기대처럼 빠르게 진전되지 않고 있는 것 역시 위안화 환율의 중요한 변동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아울러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의 보고서에 따르면 올 하반기 달러 대비 위안화 절상폭은 0.25%를 넘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올해 위안화 가치는 상반기에 1.8%상승했다. 일부 국제 투자기관은 위안화의 대 달러 가치가 올해안에 전체적으로 3~5% 상승할 것이라고 관측하고 있다.   


◇윈안화 환율의 최대변수는 '미국 경제회복'

중국은행 거시경제연구전문가 원빈(溫彬)은 "최근들어 나타나고 있는 위안화 강세가 위안화가 본격적인 가치 상승 국면에 진입했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며 "위안화 환율이 크게 떨어질 가능성은 없으며 환율이 대체로 균형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더불어 달러 약세도 단기적으로 위안화의 대달러 환율 하락(위안화 강세)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달러 약세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미국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향후 달러가 다시 강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실제로 13일 인민은행 고시 위안화의 대달러 환율 중간 가격은 달러당 6.1705위안으로 전일(6.1665위안)보다 0.0040위안 상승(위안화 가치 하락)했으며 시장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이번주 발표될 미국의 주요 경제 지표들이 비교적 낙관적일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최근 제기되고 있는 미국 경제에 대한 일부 낙관적인 전망이 맞아 떨어진다면 상반기처럼 위안화 가치가 맹렬한 상승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일부전문가들은 하반기에 내외수의 수요 감소 등 요인으로 중국 경제성장이 한층 더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미국이 양적완화를 중단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현재 달러 약세 추세가 강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위안화가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일수 있다는 얘기다.

상당수 경제 전문가들은 하반기와 내년 까지 계속해서 국제금융시장 불안과 핫머니 유입 및 유출의 영향으로 위안화의 대 달러 환율 변동성이 더욱 커질 것이며, 이 과정에서 위안화 약세 현상이 뚜렷해질수도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밖에 위안화의 사용 범위와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시장의 수급 메커니즘에  의해 달러당 위안화 환율이 균형을 찾아나갈 것이란 진단도 나오고 있다.

중국 중앙은행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상업은행의 역외 무역 위안화 결제 누계액은  2조500억 위안에 달했고, 역외 위안화 직접투자 결제 누계액도 1834억9000만 위안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역외 위안화 거래 규모 증가는 국가간 무역투자 발전을 촉진함은 물론 역외 위안화 유동성을 확대해 위안화 환율을 합리적인 수준으로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  


◇위안화 달러당 5위안 시대도 멀지않아

위안화 가치는 지난 2011년말에서 2012년 4월까지 5%상승세를 보였다. 지난 2005년 관리변동 환율제로의 환율개혁 이후 위안화 가치는 35%나 치솟았다.  위안화 가치는 앞으로도 중국의 생산력 증가폭과 중국 경제 실력에 걸맞게 상승 행진을 이어갈 것이라는게 국제 전문기관들의 일관된 관측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내놓은 보고서에서 중국 경제의 펀더멘탈로 볼 때 인플레 요인을 제외하고 위안화 가치는 여전히 5~10%저평가 돼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경제학자 쑨자오둥(孫兆東)은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 상승(위안화 대달러 환율 하락)이 큰 추세를 이룰 전망"이라며 "정책적 영향을 많이 받는 달러 환율 전망이 현재로선 불투명하지만 중국 경제성장에 힘입어 위안화가 국제 통화로서 빠르세 성장하면서 위안화 환율이 6.1위안대에 더욱 근접할 것이며 6.0시대로 진입할 날도 그리 멀지 않았다"고 말했다.

스위스크레딧도 보고서를 통해 위안화가 완만한 상승세를 지속할 것이며, 향후 1년내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이 6.00위안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 예상한 바 있다. 일부 투자기관들은 위안화가 1~2년내에 달러당 5위안시대에 접어들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한다.

이밖에 전문가들은 위안화의 안정적인 가치 상승세가 환율 개혁 심화를 위한 토대를 마련해 주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 전문가는 "내년 상반기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양적완화 퇴출 선언 시, 적절한 시기에 위안화 환율 변동폭을 확대할 경우 불투명 요소들이 사라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 신청 접수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는 17일부터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사업' 신청 접수를 받는다고 9일 밝혔다. 배달·택배비 지원사업은 정부가 지난해 7월 발표한 '소상공인·자영업자 종합 대책'의 후속 조치 일환이다. 고물가·고금리 등으로 가중된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이들의 배달·택배비를 올해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배민라이더스 배달기사 노조가 23일 오후 서울 송파구 배달의민족 본사 앞에서 기본배달료 인상, 오토바이수당 및 픽업거리 할증 도입을 촉구하는 집회를 마치고 오토바이로 행진을 하고 있다. 2021.12.23 pangbin@newspim.com 지원 대상은 ▲2023년 또는 지난해 연 매출액이 1억400만원 미만이며 ▲배달·택배 실적이 있고 ▲신청일 기준 폐업하지 않은 개인·법인 사업자다. 또 배달·택배를 주업으로 하는 업종과 소상공인 정책 자금 제외 업종을 제외한 전 업종을 지원 대상으로 한다. 지원 금액은 최대 30만원으로 1인당 1개 사업체만 신청해 지원받을 수 있다. 배달·택배비는 지난해 실적과 과거 증빙자료 등을 보관하지 않거나 확인이 어려운 경우를 감안해 올해까지의 실적도 폭넓게 인정한다. 중기부는 소상공인의 배달·택배비 증빙자료 확보 용이성을 토대로 신청자 유형에 따라 순차적으로 신청 접수를 개시할 예정이다. 연내 차질 없는 지원을 목표로 '신속 지급'과 '확인 지급' 절차로 나눠 실시한다. 지원 대상자 유형별 신청 일정 [자료=중소벤처기업부] 2025.02.08 rang@newspim.com 먼저 신속 지급 절차는 약 8만개사를 대상으로 한다. 중기부는 온라인 신청과 증빙자료 등록 등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지원받을 수 있도록 신속 지급 절차를 마련했다. 중기부는 소상공인들의 자료 증빙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생각대로 ▲바로고 ▲부릉 등 6개 배달 플랫폼과 배달 대행사로부터 소상공인이 지출한 배달비 제공에 대한 협조를 받았다. 신속 지급 대상자 데이터베이스(DB)에 포함된 약 8만개사 소상공인들은 별도의 증빙자료 없이 사업자등록번호와 계좌번호 등의 정보만 입력하면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증빙 부담이 대폭 줄고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속 지급 대상자들은 오는 17일부터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 단계에서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할 시 신속 지급 대상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최초 신청 후 지원금이 30만원 미만이더라도 추가 신청 없이 올해 12월까지 배달비 실적이 확인되면 누적 금액 최대 30만원까지 차액을 지급한다. 신속 지급 대상자 DB에 포함되지 않은 확인 지급 대상자는 4월 중 신청할 수 있다. 확인 지급 대상자는 신속 지급 대상자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로 모든 택배와 배달 플랫폼, 배달대행사, 퀵서비스, 심부름센터 등을 이용해 직접 자료 증빙이 가능한 자를 말한다. 혹은 배달 플랫폼 또는 택배사를 이용하지 않고 소상공인 대표 또는 직원이 상품을 고객에게 직접 배달해 증빙이 어려운 경우를 일컫는다. 직접 자료 증빙이 가능한 소상공인은 지난해 1월 1일부터 올해 12월 31일까지 상품 판매를 위해 배달 또는 택배를 이용한 건에 대한 증빙자료를 시스템에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제출하면 된다. 증빙자료는 배달·택배비 사용 금액이 확인 가능한 전자세금계산서와 택배 운송장, 배달 정산 내역서 등이 있다. 직접 배달 소상공인은 특성상 실적에 대한 직접 자료증빙이 어려운 만큼 관련 협·단체 등 업계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합리적인 배달·택배비 지급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확인 지급 대상자에 해당하는 두 가지 경우 모두 소상공인이 직접 자료를 입력해야 한다. 중기부는 증빙 방안을 다음 달 말까지 마련해 4월부터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 사업 신청은 전용 사이트인 '소상공인배달택배비지원.kr'이나 '소상공인24'를 통해 가능하다. 오는 17일 신속 지급 신청 시행 이후 첫 이틀간은 접속자 분산을 위해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 기준으로 홀짝제를 적용한다. 세부적인 내용은 중기부 누리집 혹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누리집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소상공인 배달 택배비 지원 콜센터를 통해서도 안내받을 수 있다. 배달 택배비 지원사업 진행 절차 [자료=중소벤처기업부] 2025.02.08 rang@newspim.com rang@newspim.com 2025-02-09 12:00
사진
尹탄핵심판 '인용' 51.9% vs '기각' 44.8%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국민 과반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해야 한다고 응답한 여론조사가 7일 공개됐다. 기각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 결과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1.9%는 '인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각해야 한다'는 답변은 44.8%였다. 격차는 7.1%포인트(p) 였다. '잘 모름'은 3.3%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인용해야 한다 50.1%, 기각해야 한다 47.7%, 잘 모름 2.2% 였다. 여성은 인용해야 한다 53.6%, 기각해야 한다 42.0%, 잘 모름 4.3%였다.  연령별로는 ▲만 18세~29세(인용 52.5%, 기각 46.6%, 잘 모름 0.9%) ▲30대(인용 56.9%, 기각 41.0%, 잘 모름 2.1%) ▲40대(인용 68.7%, 기각 30.3%, 잘 모름 1.0%) ▲50대(인용 60.9%, 기각 36.0%, 잘 모름 3.0%)에서 인용 의견이 더 많았다. 반면 ▲60대(인용 42.8%, 기각 53.9%, 잘 모름 3.3%) ▲70대 이상(인용 25.5%, 기각 64.7%, 잘 모름 9.8%)은 기각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세종에서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61.7%)이 가장 높았다. 기각은 37.4%, 잘 모름 0.9%였다. ▲광주·전남·전북(인용 56.5%, 기각 37.1%, 잘 모름 6.3%) ▲부산·울산·경남(인용 53.1%, 기각 42.5%, 잘 모름 4.4%) ▲서울(인용 51.2%, 기각 47.8%, 잘 모름 1.0%) ▲경기·인천(인용 50.5%, 기각 46.7%, 잘 모름 2.8%) ▲강원·제주(인용 47.2%, 기각 45.5%, 잘 모름 7.3%) ▲대구·경북(인용 42.7%, 기각 52.0%, 잘 모름 5.2%) 순이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90.5% ▲조국혁신당 지지자 93.0% ▲개혁신당 지지자 84.7% ▲진보당 지지자 86.5%가 탄핵이 인용돼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 87.6%는 탄핵 기각을, 7.9%는 탄핵 인용을 주장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탄핵이 인용되면 대통령이 파면돼 권력 공백과 정국 혼란이 발생할 수 있지만, 국민의 민주주의 수호와 대통령의 중대한 잘못에 대한 바로잡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여론이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헌법재판소가 향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지는 법적 근거와 증거의 유무, 국가와 국민에게 미친 영향, 사회적 여론과 정치적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탄핵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정치적 편향성을 최소화해야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kgml925@newspim.com 2025-02-07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