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연 회장 부재, 신규사업 추진 어려움 많다”
[말레이시아=뉴스핌 강필성 기자] 김희철 한화큐셀 대표이사가 태양광 시장이 내년 수급 불균형을 회복, 본격적인 수익창출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태양광 시장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 한화큐셀은 올해 하반기 흑자전환에 성공한 뒤 내년 사업 확대를 본격화하겠다는 전략이다.
김 대표는 지난 12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의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태양광 시장은 최근 상당히 어렵다”며 “2010년 W(와트)당 모듈 1.83달러 하던게 지난해에는 0.72달러까지 떨어졌는데 이건 순전히 공급과잉이다”라고 분석했다.
다만 한화큐셀은 전세계 최고 수준의 R&D와 프리미엄 전략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산이다. 실제 한화큐셀은 현재 일본의 대규모 셀 공급을 수주하고 있고 현재 태국, 칠레 등에서도 태양광 발전소 관련 추가 수주를 논의 중이다.
김 대표는 “한화큐셀의 제품은 유럽 호주, 일본지역에서 중국보다 10~20% 높은 가격 받고 있다”며 “다른 업체보다 빠른 회복을 하고 있어서 이미 이익이 회복 중으로 내년에는 반드시 수익을 낼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는 이어 “태양광 시장 역시 2014년~2015년이면 수급 밸런스를 맞춰가지 않겠나 보고 있다”며 “업체 간의 도산이나 구조조정으로 과잉이 해소되면 그 뒤에는 점진적 가격 상승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공급 과잉이 해소되면 싸게 공급해야 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가격 상승이 장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김 대표는 “기존 에너지 발전 방식의 비용과 태양광 전기 발전 가격이 언제 같아질 것이냐의 문제”라며 “태양광 시장은 과거 평균 52% 성장했지만 앞으로 14~15%는 성장하지 않겠나 보고 있다”고 말했다.
비록 EU의 정부보조금이 감축되면서 성장세가 완화됐지만 후쿠시만 원전 이슈, 미국 정책, 중국 부흥 정책 및 일부 유럽 주택용 시장 확대 등으로 인해 시장은 계속해서 확대되리라는 계산이다.
실제 독일의 사례에서는 여름의 전기사용량이 많을 때 태양광 전기 생산이 기존 전기 수요를 일부 부담하는 상호 보완적 시스템이 갖춰져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김 대표는 향후 예상치 못한 글로벌 시장의 위기가 다시 찾아오더라도 태양광이 다시 극도의 침체를 겪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 대표는 “과거에는 태양광 마진이 20%로 굉장히 좋아서 과잉 투자 요인이 있지만 이젠 그렇지 못해하고 무엇보다 학습 효과가 있었다”며 “업체별로 규모의 경쟁, 고객 다이렉트 채널 경쟁이 시작되면 이 시장에도 진입장벽 생길 것으로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무분별한 시장 진입 원천봉쇄될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이다.
태양광 시장의 경쟁자로 인식돼 온 셰일가스에 대해서도 크게 우려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에너지 혁명으로 불리는 셰일가스는 그 가격이 저렴한 탓에 고가의 투자를 필요로 하는 태양광 산업의 성장동력을 상당부분 침범할 것으로 평가돼왔다.
김 대표는 “셰일가스의 영향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지금 셰일가스 수출이 힘들어 내부에 공급과잉으로 가격이 저평가 돼 있는 상황이라 가격은 곧 회복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태양광이 셰일가스의 환경 오염우려를 해소할 수 있고 큰 투자 없이 설치하더라도 발전이 가능한 유일한 분산형이라는 점도 주효하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그는 “셰일가스는 에너지 안보, 국가에서 얼마나 판매하느냐 등의 여러 문제 때문에 태양광에 부정적 영향 없을 것”이라며 “선진국은 분산형으로, 신흥국은 발전소 형태로 계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향후 한화큐셀은 셀 뿐만이 아니라 다운스트림(모듈, 발전 솔루션, 시스템 등)에 있어서 세계 최고 수준으로 시장 진입을 준비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한화큐셀 말레이시아 공장은 모듈 생산 라인 확대를 준비 중이다.
다만 이 과정에는 고충도 적지 않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김 대표는 “말레이시아 공장에 셀과 모듈을 모두 합쳐 2GW 수준을 만드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보고 있는데, 말레이시아 장관과 지원 논의 등에서 난항을 겪고 있다”며 “그룹의 의사결정과 정부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데, 김승연 한화그룹의 부재가 저로서는 많은 아쉬움과 어려움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일개 CEO로서가 아닌 정부 고위층과 접촉해서 정책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오너의 존재가 필수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김 회장이 부재인 탓에 진행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그는 이어 “예전 이병철 삼성 회장이 반도체에서 돈을 못버는데 투자하는 건 전문경영인이 해서는 잘 되지 않는다”며 “현재 이런 공격적 투자는 중단 돼 있다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뉴스핌 Newspim] 강필성 기자 (fee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