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한태희 기자] 주택값이 정보제공업체마다 달라 혼선이 발생하는 것은 이른바 '호가' 때문이다.
호가는 집주인이 집을 팔기 위해 부르는 가격. 집주인이 부르는 가격에서 주택이 거래되면 호가와 실거래가는 일치한다. 하지만 호가와 실거래가가 일치하는 경우는 드물다. 때에 따라선 호가와 실거래가가 1억원 넘게 차이가 난다.
이런 이유로 주택시장에선 '호가' 무용론에 대한 목소리가 크다. 호가 상승만으론 주택시장 분위기를 제대로 전달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8일 아파트 주간 시세를 제공하는 부동산 정보제공업체와 한국감정원, KB국민은행 부동산팀에서 제공하는 주간 아파트 시세는 대부분 호가를 기준으로 작성된다.
부동산써브 김미선 선임연구원은 "전국에 있는 중개업소에서 주간 가격 움직임을 보내면 중앙에서 정보를 분류하고 특이한 지역이나 가격 움직임이 큰 곳은 별도 정보로 제공한다"며 "중개사들은 주로 호가를 적는다"고 말했다.
부동산뱅크 관계자는 "전수 조사가 힘들기 때문에 뱅크에 등록된 업체가 올려주는 정보를 근거로 시세를 작성한다"며 "중개업소에서 올라오는 가격은 실거래가가 아닌 호가"라고 설명했다.
정보제공업체 부동산써브와 부동산114, 부동산뱅크는 전국 중개업소 네트워크 망을 갖고 있다. 해당 업체에 가입한 중개업소가 주간 가격을 등록하면 이들 업체가 이를 집계한다.
중개업소는 정보제공회사의 인터넷 망에 실거래가가 아닌 매물로 나온 가격을 입력한다. 매물로 나온 가격은 집주인이 팔고 싶은 가격, 호가의 다른 말이다.
한국감정원과 KB국민은행 부동산팀도 호가를 통계의 기본 자료로 사용한다. KB국민은행 부동산팀은 표본주택이 거래된 경우엔 실거래가를, 거래되지 않은 경우엔 해당 지역 부동산 중개업소 자료를 활용한다. 한국감정원은 실거래가를 기본으로 하되 유사 실거래 사례를 참고한다.
문제는 호가를 근거로 한 아파트 시세는 주택시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데 있다.
호가가 오르면 주택시장 분위기가 좋은 것으로 여겨진다. 새 정부 출범을 앞둔 시점이나 정부의 주택대책 발표 전후로 호가 거품이 일어난다.
부동산 정보제공업체마다 아파트 시세가 다른 이유는 아파트 '호가'를 활용하기 때문이다. 호가는 집주인이 부르는 가격으로 호재가 있으면 짧은 시간에 수천만원 오르지만 실거래가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다. 서울 강남구 개포주공1단지(사진)는 새정부 출범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난 1~2월 호가가 수천만원 올랐지만 곧 떨어졌다. |
하지만 추격매수세가 붙지 않아 호가는 곧 떨어졌다.
정부가 '4.1주택대책'을 발표하자 호가는 다시 상승했다. 하지만 추격매수세가 줄어들고 지난 6월 취득세 감면이 종료되자 호가는 또 떨어졌다. 아파트 시세가 떨어진 것은 물론이다.
이런 이유로 중개사들은 호가의 한계를 지적한다. 주택시장 분위기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한다는 이유에서다. 일부 중개사는 호가를 '실체없는 가격'이라고 부른다. 소비자들의 선택이 잘못될 수 있는 셈이다.
서울 강남구 개포동 주공1단지 내 스타부동산 관계자는 "호가는 집주인이 받고 싶은 금액이지 절대 실거래가는 아니"라며 "1억원짜리 아파트를 2억원에 팔겠다고 내놔도 시세는 오르지만 이렇게 오른 시세가 시장을 제대로 반영하겠냐"고 말했다.
개포동 주공2단지 내 청룡공인 관계자는 "호가는 실체가 없는 가격"이라며 "아파트 호가 상승만 보고 주택시장 분위기가 바뀌었다고 말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한태희 기자 (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