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지갑 잠그고, 기업은 투자 '중단' 경기하강 가속
[뉴스핌=강소영 기자] 산업생산·전력사용량·투자 등 8월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가 일제히 시장의 전망치를 크게 밑돌면서 중국 경제 회복세에 급제동이 걸렸다. 경기 하강 우려가 가시화되자 중국 정부가 통화완화,부양책 강화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12일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8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중국 경제 성장 둔화 가능성에 '쐐기'를 박는 계기가 됐다. 경제활동의 기초이자 경기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산업생산 증가율이 지난 7월 9%에서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6.9%에 급락했기 때문.
해통(海通)증권수석 쉰위건 애널리스트는 이는 시장 예상치 8.7%를 크게 밑도는 우려스런 결과라고 분석했다. 8월 산업생산 활동이 부진했던 주요 원인은 부동산 시장 침체와 자동차 휴대폰 판매 둔화, 기상 악화 등으로 지적됐다.
산업생산 증가율은 GDP(국내총생산)와 정비례 관계를 보인다는 점에서 8월 낮은 산업생산 증가율이 시장에 가져온 충격은 더욱 컸다.
이미 1일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8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전월보다 0.6%포인트 떨어진 51.1을 기록, 6개월만에 하락세로 전환했고, HSBC은행이 발표한 8월 제조업 PMI 역시 시장의 전망치를 밑도는 51.1에 머물러 경제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진 상태다. 경기선행지수인 생산자물가지수(PPI) 역시 30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경제 성장의 3두 '마차'로 불리는 투자, 소비, 생산이 모두 내림세를 보이고 있는 것. 올해 1~8월 중국의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16.5%로 1~7월 증가율보다 0.5%포인트가 낮아졌다. 올해 들어 가장 큰 하락폭이다. 소비증가율도 11.9%에 그쳐 3개월 동안 이어왔던 12% 수준이 무너졌다.
시중통화량(M2) 증가율도 전망치를 밑돌았다. 인민은행은 8월 M2 증가율이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에 그쳐, 올해에서 두 번째로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관칭유(管淸友) 민생(民生)증권 애널리스트는 수출증가로 대외환경이 다소 개선됐지만, 부동산 시장 침체 등의 영향으로 경기 둔화세가 빨라지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부동산 시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가전, 가구 및 건축 인테리어 소비 증가세가 둔화됐다"며 "만약 부동산 판매량이 눈에 띄게 늘어나지 않는다면 소비 둔화는 더욱 뚜렷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동차 판매량과 국민의 단기대출 규모도 줄어들고 있다. 자동차처럼 고가의 내구재를 구매하기 위한 단기대출이 줄고있는 것은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있다는 증거로 받아들여진다.
높은 판매율을 보이던 자동차, 스마트폰 등 최첨단 소비품의 판매 증가율이 주춤해진 것은 중국이 추진하는 경제구조 전환을 통한 소비진작 역시 동력이 충분하지 않음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우려를 더해주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밝혔다.
중국의 한 경제전문가는 "매월 발표하는 산업생산 증가율은 일정 규모 이상의 산업체를 대상으로 수치를 집계한다"면서 "상황이 더욱 어려운 소기업 상황까지 추가하면 산업생산 증가율은 적어도 1%포인트가 더 낮아지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산업생산 증가율이 GDP증가율과 같은 궤적을 그리지만, 산업생산 증가율은 통상 GDP 증가율을 웃돈다"면서 앞으로 중국의 경제성장률 목표치 달성이 쉽지 않을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정부가 경제개혁을 외치고 있지만, 급강하하는 경제를 수수방관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익명을 요구한 정부 연구기관 관계자는 "정부의 거시경제 운용 목표는 여전히 질적 발전에 있지만, 단기적인 경기 불안 해소 역시 고려하고 있다면서 정부가 경제의 추가적인 후퇴를 방치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를 내비췄다.
그는 "정책결정자들도 판자촌 개조와 보장성 주택 건립등 부동산 개발 투자사업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만큼 앞으로 경제부양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 경기 급강하를 막아낼 것"이라고 밝혔다.
시장 전문가들은 3분기 경제지표가 중국 정부의 정책 기조를 판가름할 결정적인 요소가 될 것으로 보고있다. 9월과 3분기 경제지표가 모두 악화되면 중국 정부가 줄곧 지향해온 '미니 부양책'을 포기하고 현재보다 훨씬 '강력한 부양'으로 입장 전환을 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