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기업들, 구글 서비스 등 이용 곤란…지점 이전 늘어
[뉴스핌=김동호 기자] 글로벌 인터넷 공룡인 구글도 중국 정부의 규제 앞에선 속수무책인가?
21일(현지시각) 뉴욕타임스(NYT)는 구글의 중국 사업이 중국 정부의 인터넷 규제 강화로 인해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다.
구글은 이미 2010년 3월 중국 당국의 인터넷 검열을 피하기 위해 서버를 홍콩으로 이전한 바 있다.
[출처:AP/뉴시스] |
이들 단어를 검색하려 하면 사용자의 인터넷 사이트 접속을 최대 90초간 중단시키는 방법으로 홍콩 내 서버를 차단하는 식이다. 또한 한 달에 몇 시간씩 구글 사이트의 접속을 막기도 한다.
익명의 중국 스타트업 최고기술책임자는 올 여름 들어 특히 구글 드라이브를 사용하는 일이 어려워졌다며 이로 인해 직원들과 업무 관련 파일이나 서류 등을 공유하기가 힘들어졌다고 말했다.
중국에 지사를 둔 다국적 기업들도 구글 서비스가 차단되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구글의 이메일 서비스인 지메일과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인 구글 캘린더 등을 이용해 여러 지역에 있는 지점 간 회의 일정을 잡는 일이 곤란해진 것이다.
중국에 14년간 거주한 미국 에너지 기업의 임원 제프리 필립스는 "사람들이 일하는 대신에 파일 전송법을 알아내는 데 시간을 쓴다"고 토로했다.
이를 통해 중국인들에게 구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 접속을 시도해야 하며 이는 구글 서버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라는 인식을 심어주기도 한다는 설명이다.
애플리케이션(앱) 마켓인 '구글 플레이' 역시 중국 내에서는 부분적으로만 접속할 수 있고 앱 제작사들은 중국판을 따로 만들어야 하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구글의 중국 사업은 점차 쇠락의 길을 걷고 있다. 중국 검색 엔진 시장에서 구글의 점유율은 서버 이전인 2009년 전체 시장의 3분의 1 수준이었지만 올해 2분기에는 10.9%로 하락했다.
중국 당국의 규제는 비단 구글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트위터와 페이스북은 이미 중국의 인터넷 검열 시스템인 만리방화벽에 의해 차단된 지 오래고 한국의 카카오톡과 라인 같은 인기 메시징 서비스도 올 여름 갑자기 차단되는 일이 있었다.
베이징대의 한 교수는 최근 미국 대학에 지원하려는 학생을 위해 추천서를 제출하려 했지만, 해당 미국 대학의 웹사이트가 접속 차단되면서 서류를 내지 못하는 일도 있었다.
이 같은 상황이 반복되며 일부 기업들은 싱가포르 같은 지역으로 지점을 옮기고 있으며 이와 비슷한 조치를 더 많은 기업들이 검토하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뉴스핌 Newspim] 김동호 기자 (good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