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편 결제부터 택시까지"…끝없는 서비스 출시 경쟁
[뉴스핌=이수호 기자] 포털 양강 네이버와 다음카카오가 주축 사업인 검색 서비스를 뒤로 한 채, 다양한 IT 관련 분야에서 치열한 영토 확장 경쟁을 벌이고 있다.
O2O(온오프라인 연결) 사업과 웹툰, 핀테크, 동영상 광고 사업, 택시 등 기존의 포털업이 아닌 IT 콘텐츠 사업 강화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두 인터넷 공룡의 동시 다발적인 사업 진출로 영세 인터넷 업체들의 볼멘 소리도 나온다.
▲ '팔색조' 포털업계…신규 서비스 확대에 '올인'
9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포털 양강 네이버와 다음카카오는 지난해 말부터 신규 서비스 론칭에 여념이 없다. 지난해 10월 다음카카오 출현 이후, 네이버와 더불어 양강 구도가 형성되면서 이 같은 움직임은 더욱 빨라졌다.
다음카카오는 지난해 10월 합병을 앞두고 카카오페이를 출시한 이후, 뱅크월렛카카오 등 핀테크 관련 서비스를 확대하는 한편, 카카오픽, 카카오토픽, 카카오택시 등 신규 서비스 확대에 공을 들이는 모습이다.
기존 카카오의 캐쉬카우를 맡았던 카카오게임을 제외하면 마땅한 수익원이 없었다는 점에서 추가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다. 특히 낮은 검색 점유율(18.56%/1월 기준)에 비해 다양한 콘텐츠를 지닌 다음과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연결'이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
지난해 10월 다음카카오 공식 출범 / 김학선 기자 |
이를 위해 기존에는 큰 공을 들이지 않았던 동영상 서비스와 웹툰, 웹드라마 등 모바일 트래픽을 늘릴 수 있는 부문에 투자를 강화하는 모습이다. 여기에 CJ E&M의 '미생' 등 웹툰을 원작으로 한 신규 콘텐츠들이 대중적 인기를 끌면서 모바일 웹툰 시장이 크게 팽창하는 상황도 투자 확대의 배경으로 작용했다.
이처럼 다음카카오의 적극적인 IT 서비스 출시에 네이버 역시 적잖은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PC 시대의 최강자로 10년 넘게 군림했지만 모바일 시대에서는 도전자의 위치로 자리를 바꾼 상황이다.
네이버는 지난한 해, 캐시카우로 재미를 봤던 글로벌 모바일 메신저 라인을 통해 일본에서 신규 서비스를 선출시하는 방법을 택했다. 90%에 육박하는 카카오톡의 국내 점유율을 피해 라인페이와 라인택시 등의 신규 서비스를 일본 시장에서 먼저 선보인 것이다.
2014년 3분기 네이버·다음카카오 실적 |
먼저 누적된 포털 노하우를 통해 020(온·오프라인 연결) 연결 사업을 확대하는 한편, 기존에 형성된 네이버 쇼핑 서비스를 모바일로 옮겨 유통 서비스까지 병행하고 있다. 여기에 일본 라인페이와 또다른 '네이버 페이'를 심어 간편결제시장에서도 막강한 위력을 떨치겠다는 각오다.
실제 네이버 체크아웃을 통해 4만3000개가 넘는 가맹점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용처가 20여곳에 불과한 카카오페이를 잡는 것은 시간 문제라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또한 지난해 10월 말 스마트미디어렙과 업무협약을 맺고 지상파 종편 등 7개 방송사의 하이라이트 무료로 영상을 제공하면서 동영상 시장을 재패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이처럼 양사의 속도 경쟁은 향후 더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양사 모두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기존의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고 있는 탓에 비용 부담이 크게 들지 않는 탓이다. 또한 지난해 양사 모두 실적이 미비해 올해 성장 동력을 만들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이 같은 서비스 출시 경쟁을 촉발한 또다른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밖에 국내 PC 광고 시장의 낮은 성장률이 양사의 속도 경쟁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실제 PC 광고 시장 성장률은 3%대로 정체된 반면 모바일 광고 시장의 성장률은 세자릿 수를 넘는 상황이다.
▲ IT 잡식 공룡에 영세업체는 죽을맛…"스타트업 말고 우리도 있다"
"기존에는 큰 관심을 갖지 않던 동영상 서비스에 네이버와 다음카카오가 나서면서 영세업체들은 죽을 맛이다"
연 매출 250억원대에 국내 주요 동영상 업체 관계자는 다음카카오 합병 이후, 잇따른 IT 잡식 공룡 출현에 위기감을 느낀다고 토로했다.
영화와 드라마 등을 무료로 제공하고 광고비를 얻는 방식이 주 수입원이었지만 다음카카오와 네이버의 모바일 플랫폼 강화에 따른 영상 서비스 확대로 트래픽이 지속적으로 줄고 있는 탓이다.
이처럼 네이버와 다음카카오의 서비스 물량 공세 탓에 기존 영세 IT 업체들은 존립 위기에 처해있다. 광고비로 연명한다는 점은 포털업체와 같기 때문에 수익 구조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것이다.
영화와 음악에 이어 웹툰, 캐릭터 오프라인 매장 사업까지 포털업계가 전방위적으로 나서면서 자본과 인지도에서 밀리는 중소업체들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정치권에서도 네이버와 다음카카오의 시장 독식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새누리당 이재영 의원은 지난해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네이버의 검색시장 점유율이 70%를 넘고, 카카오톡은 모바일 메신저 시장점유율 95%를 차지하고 있지만 이들 기업은 시장지배적 사업자로 분류되지 않고 있다"면서 "포털사업자들이 오픈마켓과 영화, 음악, 부동산 등으로 문어발식 사업을 확장하면서 영세사업자들이 경쟁력을 잃고 있어 포털 사업자들에 대한 일정한 책임 부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여론 탓에 포털업계는 스타트업 지원 강화 등 면피성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성장한 스타트업을 다시 인수하는 방식으로 오히려 자사의 세를 불리고 있는 형국이다.
[뉴스핌 Newspim] 이수호 기자 (lsh599868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