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경수 한국거래소 이사장 |
[뉴스핌=김나래 기자] 한국거래소가 개발한 한국형 다우지수 'KTOP 30'이 오는 13일부터 공식 산출된다. 구성종목에는 그간 편입을 두고 논란이 됐던 삼성전자를 포함해 아모레퍼시픽, 현대차, 다음카카오, 셀트리온 등 30개 종목이 포함됐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TOP 30'의 종목에는 ▲SK이노베이션(에너지) ▲POSCO, LG화학, 현대제철, 롯데케미칼(소재) ▲현대글로비스, 삼성물산,현대중공업, 현대건설, 삼성중공업(산업재) ▲현대차,현대모비스,기아차, LG전자,한국타이어(자유소비재) ▲아모레퍼시픽, 이마트(필수소비재) ▲삼성생명, 신한지주,KB금융, 삼성화재(금융)▲삼성전자, SK하이닉스, NAVER, LG디스플레이,삼성SDI, 다음카카오, 삼성전기(정보기술) ▲SK텔레콤(통신서비스) ▲셀트리온(건강관리) 등이 선정됐다.
지난 6개월간 업계 전문가들 의견수렴과 미국 다우지수위원회 위원장의 검토를 거친 후 최근 주가지수운영위원회의 3차례 심의까지 거쳐 구성 종목을 최종 확정했다.
벤치마크한 다우지수의 경우 처음 만들어졌을 때 주식시장의 움직임을 통계적 지표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CNN,블룸버그와 같은 세계적인 뉴스매체들의 헤드라인으로 언급되고 미국의 기준금리 결정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거래소도 이번 신규 지수에 대한 이같은 기대감을 드러냈다.
최경수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미국경제의 성장이 바탕이 되기도 했지만 지수개발의 기술적 측면에서 성공요인을 찾아봤다"며 "다우지수처럼 30개의 초우량종목으로 산출했는데, 특히 종목선정이 지수위원회의 심의을 통해 결정돼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하며 주가평균식으로 산출돼 투자자들 예상이 수월해질 것"이라고 장점을 설명했다.
앞서 한국의 주요지수인 코스피200 등은 해외의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 구성종목이 많다 보니 지수 움직임이 무겁고 펀드상품 등의 자산운용에 편리한 시가총액 방식으로 지수를 산출, 우리 경제 성장을 대표하기에 다소 뒤떨어졌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박영석 주가지수운영위원회 위원장은 "코스피는 전체 상장종목으로 지수를 산출함에 따라 우리경제의 성장성에 비해 지수상승률이 미흡했다"며 "반면 해외 주요국은 모두 해당 국가의 경제와 증시를 대표하며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대표지수가 존재한다"고 배경을 전했다.
KTOP30의 심사기준은 경제대표성, 시장대표성, 투자접근성, 지속성장성, 지수영향도 등 5개 부문이었다. 경제대표성에서는 산업대표성과 매출규모를 심사했고 시장대표성에서는 시가총액과 거래량을, 투자접근성 및 지수영향도에서는 원칙적으로 50만원 이상 고가주는 종목선정에서 제외하되 유동성이 높은 종목은 예외적용했다. 지속성장성 면에선 종목 편입시 지수내 편입 비중이 주요 심사기준이다.
종목 편입관련 주요쟁점 이슈와 관련한 삼성전자 편입에 대해선 "심의 결과 지수의 대표성 제고와 구성종목에 대한 시장의 컨센선스 형성을 위해 편입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우리 경제의 대표기업이고 유동성도 양호하지만 주가 수준이 높아 구성종목 선정시 원칙과 배치된다는 의견이 많았고, 편입시 지수 영향도가 과도해 주가평균식 지수산출에 부적합하지만 미편입시 지수의 대표성이 현격히 낮아진다는 논쟁이 있었다는 것. 다만 한국거래소는 지수산출 시 비중제한을 위해 주가에 조정계수(0.5)를 적용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아모레퍼시픽의 편입문제에 대해서도 "아모레퍼시픽은 시장대표성이 높지만 주가가 300만원, 유동주식수는 300만주에 불과해 종목심사시 구성종목으로 부적합하다는 판단이 있었다"며 "다만 최근 액면분할로 투자자의 접근성이 개선돼 편입하기로 결정했다"고 답했다.
이에 따라 이들 종목의 시가총액은 600조원으로 시장 전체시총의 45%를 커버한다.종목당 평균시총은 20조원이다. 섹터별 비중은 대체로 코스피200과 유사하고 우리경제의 주력산업인 IT비중이 32%로 가장 높았다. 한국거래소는 코스피200종목보다 구성종목이 고르게 지수에 반영됐다고 자평했다.
지수산출과 관련해선 미국 다우지수를 벤치마크해 구성종목이 고르게 반영되도록 주가평균식 지수산출방법을 채택됐다는 설명이다. 또 액면분할, 증자 등으로 기준주가 변동 시 항상제수 조정을 통해 지수연속성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뿐만 아니라 지수가 지나치게 고가인 경우 편입비중을 조정키로 했다. 지수산출을 위한 기준시점은 1996년 1월3일로 정하고 대략 20년간 소급지수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또한 코스피와 비교하기 쉽도록 기준일의 지수는 해당일의 코스피와 동일하게 899P로 설정하기로 했다.
한편, 지수관리에 대해선 구성종목의 정기변경은 없지만 지수위원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종목 변경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전했다. 매년 1회 지수성과와 구성종목 분석을 기초로 지수위원회가 종목 교체의 필요성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박영석 주가지수운영위원회 위원장은 "KTOP 30도 소수의 대표종목으로 우리 경제와 증시의 성장성을 대표하는 아이콘 같은 지수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우리 증시의 장기적인 상승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를 회복하고 활력을 제고하는 촉매제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뉴스핌 Newspim 김나래 기자] (ticktock032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