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PMI 3년래 최저, 리커창지수도 암울
[편집자] 이 기사는 지난 18일 오후 5시 뉴스핌 프리미엄 콘텐츠 ′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뉴스핌=이승환 기자] "중국 경제의 디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3분기 국내총생산 성장률(GDP)은 7% 아래, 즉 6% 후반대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중국 거시경제 주무기관인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의 마샤오허 거시경제연구원 부원장은 지난 17일 중국 우한(武漢)에서 열린 제8회 국제옥수수산업 대회에 참석해 "중국의 경제 성장 가도에 하방 압력이 작용하고 있다"며 이렇게 밝혔다.
마샤오허 부원장은 이어 "제조업과 부동산의 회복이 저조하고 소비도 좀처럼 개선될 여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며 "사회곳곳에서 저성장의 징후가 나타나는 등 올해 경제 성장률이 작년 수준에 못 미칠 여지가 크다"고 진단했다.
리커창 국무원 총리가 최근 공식석상에서 "중국 경제의 경착륙은 없을 것"이라고 장담한 가운데, 중국 경제 성장 계획의 구상을 책임지는 발개위 관계자의 다소 부정적인 발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중국 경제의 성장률 예측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 7% 성장을 이어갈 수 있다는 장밋빛 전망과 실질적인 성장률은 4%에도 못 미칠 것이라는 견해까지, 서로 다른 관측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동시에 경제 상황을 객관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경기 지표에 대한 해석 까지도 전문가의 입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중국 경제 위기론의 실체는 무엇인지 ▲수출·내수·투자 ▲리커창지수와 PMI(구매자관리지수) ▲공업 및 부동산 경기 등 주요 분야별로 상중하 3회에 걸쳐 짚어본다.
<자료=바이두(百度)> |
◆3년래 최저치 기록한 PMI 지수…경기 하방 압력 반영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8월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6로 기준선(50)을 밑돌며 3년래 최저치를 나타냈다. PMI는 50을 기준으로 이를 넘으면 경기 확장을, 이에 못 미치면 경기 위축을 의미한다.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財新)이 발표하는 제조업 PMI 역시 47.3으로 2009년 3월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 중국 제조업 경기 악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기업별로 나눠보면, 국가 통계국의 통계 기준 중·대형 기업의 경기상황은 기준선을 하회했고 소형기업은 전달 대비 소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기업 PMI는 49.9로 전월과 비교해 0.7포인트 하락하며 지난 2012년 8월이래 처음으로 기준선 밑으로 하락했다. 중형기업의 PMI는 49.8로 7월보다 0.2포인트 내려간 반면 소형기업은 1.2포인트 오른 48.1을 나타냈다.
중국 경제분야의 한 전문가는 "기업들의 제조업 경기가 전반적으로 하락한 가운데, 대기업의 PMI 지수가 지난 몇 년 만에 처음으로 50을 하회한 것은 실물 경제가 침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반영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비(非)제조업 경기의 둔화세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중국의 8월 비제조업상업활동지수(PMI)는 전달대비 0.5포인트 하락한 53.4를 기록하며 지난 2개월의 상승세를 마감했다.
산업별로는 신규 건축 주문 지수가 1.7포인트 상승해 향후 건축 수요가 확대될 가능성을 반영했다. 다만 여름철 더위의 영향으로 건축상업활동지수가 전달대비 2.3포인트 하락한 57.8을 나타냈다.
8월 서비스업활동지수는 전달보다 0.2포인트 내린 52.6을 기록했다. 증시폭락의 영향으로 자본시장 서비스 지수가 기준선을 하회하면서 전체 서비스업 PMI 지수 하락을 가중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8월 PMI에 대해 전문가들 사이에선 엇갈린 진단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3년래 최저치로 떨어진 PMI지수가 중국 경기침체를 가감없이 반영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글로벌 금융시장과 원자재시장의 불확실성 확대로 인해 중국 경제가 새로운 침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반면 계절적인 요인을 고려했을 때 PMI지수 부진에 대한 지나친 확대해석은 자제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12년과 2014년 8월 PMI 지수가 전달대비 1.0포인트 가까이 하락했다. 동시에 열병식 준비의 일환으로 일부 지역의 공장 가동이 중단된 점과, 톈진(天津)항 폭발의 충격을 감안하면 8월 PMI의 부진은 실제 경기 침체보다 과도하게 반영됐다는 진단이다.
다만 정도의 차이일 뿐, PMI 지수 하락이 현재 중국 경제에 작용하고 있는 하방 압력을 반영하고 있다는 데에는 반문의 여지가 없는 분위기다. 특히 신규주문지수가 3개월 연속 하락하는 등 수요 감소에 따른 경기 침체 장기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자료=바이두(百度)> |
◆암울한 리커창 지수, 중국 경제 제대로 반영했나
중국 경제 성장과 활력도를 보여주는 리커창 지수도 대체로 부진한 상황이다. 리커창지수는 리커창 국무원 부총리가 경제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참고하는 전력 소비량, 철도 물동량, 은행 신규대출 3개 항목을 참조해 지수화 한 것이다.
리커창 지수는 특히 지난 6월 시작된 중국 증시 폭락으로 자본시장의 불확실성이 고조됨에 따라, 실물 경제 상황을 파악하는데 용이한 수단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 전력기업 연합회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 1~7월 중국의 전국 전력 사용량은 전년동기 대비 0.8% 증가한 3조2668억kWh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증가폭이 4.1% 포인트 축소된 수치다. 특히 산업 경기를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공업용 전력사용량이 전년동기대비 0.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내 전체 전기사용량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크게 축소됐다.
리커창지수의 또 다른 항목인 철도물동량도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1~7월 전국 철도 화물 운송량은 전년동기 10.2% 줄어든 19억8000만톤을 나타냈다. 같은기간 철도 화물 회전률도 11.8% 감소했다.
지난 2년 철도 물동량을 지탱하는 석탄, 철강, 석유 등 원자재 소비가 중국의 산업 체제 전환과 과잉생산의 영향으로 크게 감소한 탓이다. 원자재 최대 소비국인 중국의 수요 침체는 원유, 구리, 철광석 등 원자재의 글로벌 가격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8월들어 전국 전력소비량이 전달대비 4.97% 포인트 증가하고 산업 발전량이 올해 들어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리커창 지표가 호조세를 나타냈지만 이를 경기 국면의 변화로 판단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게 시장은 전반적인 시각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리커창지수의 한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는 중국 경제를 포괄하기에는 지나치게 단면만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 특히 중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진 서비스업을 반영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시장조사업체 게이브칼 드래고노믹스의 관계자는 최근 "리커창지수가 지나치게 남용되는 경향이 있다"며 "특히 광둥(廣東)성과 같이 제조업 기반의 수출과 서비스업에 의존하고 있는 지역의 경기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마이클 파커 번스타인리서치 투자전략가도 "중국인들의 소비 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소비형 경제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며 "박스오피스 수입, 4G 사용량 등을 경기 성장의 기준으로 잡는 것이 더 합당하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박스오피스 수입은 올 들어 현재까지 48%의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작년 성장폭인 32.3%를 이미 넘어선 수준이다. 스크린 수도 작년 기준 전년대비 14%가 늘어난 5300여개, 스크린수는 20.9% 늘어난 2만2000여개로 추정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이승환 기자 (lsh8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