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홈 오픈랩 실증사업 이달 말 종료…표준 수립
[뉴스핌=황세준 기자] 사물인터넷(IoT) 시대를 활성화 할 ‘스마트 홈’ 표준이 나온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청소기와 LG전자 세탁기 간 소통이 가능해진다.
박호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책임연구원은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 주회로 22일 서울 구로호텔에서 열린 ‘K-ICT 사물인터넷 오픈랩 설명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IoT 오픈랩이란 미래부가 가산디지털단지 가산비즈니스센터에 마련한 공간으로 ‘스마트홈’, ‘스마트카’, ‘스마트그리드 보안‘, ’중증질환자 에프터케어’ 등 4개 실증구역으로 나뉜다.
이 중 ‘스마트 홈 오픈랩’은 다양한 제조사의 제품·기기 간 호환이 가능한 연동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한다.
가트너 보고서에 따르면 오는 2020년까지 가구당 IoT 기기를 50개 이상 보유하게 된다. 하지만 현재의 스마트 홈은 제조사별로 플랫폼이 달라 동일한 회사의 기기 및 서비스 간에만 연동되는 한계가 있다.
즉, 오픈랩 사업은 제조사와 관계 없이 다양한 스마트기기를 연동하도록 ‘공통 표준’을 마련하는 것이 골자다.
사업에는 삼성전자(에어컨·로봇청소기), LG전자(TV·에어컨·로봇청소기), 경동원(월패드·온도조절기·조명·가스밸브·난방·도어폰), 제이씨스퀘어(전기밥솥), 삼진(온습도·누수·개폐·근거리감지 등 보안센서), 유타스(공기질·진동·화재·가스 등 환경센서) 등이 참여했다.
지난 5월 사업협약을 맺고 6월부터 본격 착수했으며 10월까지 기능 및 연동시험을 했다. 11월부터는 통합시험 및 안정화 작업을 진행 중으로 12월 31일까지 사업을 마치고 최종 평가와 시연을 갖는다.
LG전자가 지난 9월 IFA 2015에서 공개한 스마트씽큐 센서 스마트홈 전시공간. <사진=LG전자> |
현재 구축한 모델은 플랫폼 서버를 통해 각각의 스마트 기기 정보를 한데 모으고 서버 상에서 연동하는 방식이다. 제조사들은 자사 플랫폼 수정 없이 타사 기기와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삼성전자 청소기가 LG전자 세탁기에 직접 ‘말’을 걸 수는 없지만 통역기를 사용해 소통할 수 있게 된 셈이다.
박호진 책임연구원은 “기존 각 제조사의 플랫폼을 별도의 비용을 들여 고치고 새로운 표준을 만든 게 아니라 각 사 플랫폼 인정하고 그것을 연동하는 시스템을 개발한 게 실증사업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이를 통해 플랫폼이 없는 중소기업의 가전도 연결할 수 있다”며 “하나의 앱으로 여러 제조사의 기기를 조종하는 실험을 진행 중”이라고 소개했다.
아울러 “플랫폼 기능을 오픈랩이 제공하고 표준 인터페이스를 공개한다”며 ‘중소기업에서 제품 및 서비스 개발 시 컨설팅도 한다“고 전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다양한 기술 간 상호 호환성을 확보함으로써 대기업 및 중소기업 상생환경을 조성하고 스마트 홈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황세준 기자 (hsj@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