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0만 카카오톡 이용자 활용 광고 상품 확대
[편집자] 이 기사는 2월 1일 오후 3시 10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이수호 기자] 카카오가 광고주 확보를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게임 사업이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쉽게 현찰을 확보할 수 있는 광고 유치를 통해 수익성을 제고한다는 전략이다.
1일 IT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지난달 28일 서울 강남 포스코P&S 건물 강당에서 '카카오 광고주 교육' 행사를 진행했다. 올 들어 처음 열린 이번 행사에는 카카오의 기존 광고주들과 더불어 광고대행사 등 광고업계 관계자들이 신규로 대거 참석했다.
이날 카카오는 성과 측정이 가능한 통합플랫폼을 활용해 광고 도달율을 높이는 광고 믹스 전략을 구현하겠다는 포부를 내비쳤다. 또 올해 광고 키워드로 '모바일과 효율'을 꼽으며 카카오의 다양한 서비스 카테고리를 적극 활용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카카오가 공개한 성과 측정이 가능한 통합플랫폼은 포털 사이트인 다음과 카카오가 운영하는 서비스를 연계해 PC와 모바일, 포털과 메신저의 광고 효과를 하나로 묶고, 이를 직접 성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PC 검색 광고에 집중된 네이버와 달리 4000만명이 사용하는 카카오톡을 활용해 노출 빈도를 늘려 광고주들에게 어필하겠다는 포석이다. 더불어 카카오톡, 게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택시 등 다양한 카카오 서비스를 활용해 적재적소에 맞춤형 광고를 진행하겠다는 뜻이다.
남궁훈 카카오 CGO가 지난달 28일 오전 서울 광화문 나인트리 컨벤션 그랜드볼룸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카카오 게임 광고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 김학선 기자> |
광고 예산도 탄력적으로 운영해, 검색광고의 경우 1클릭당 최저 70원의 최저과금 형태로 제공하겠다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광고비가 부담스러운 중소업체들까지 진입장벽을 낮춰주겠다는 의미다.
앞서 카카오는 게임사업 분야에서도 광고를 적극 활용해 개발사의 수익을 끌어 올리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바 있다. 카카오는 올해 상반기 중으로 카카오 게임안에서 다른 게임의 광고를 볼 수 있는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A게임을 플레이 하던 도중, 비슷한 장르의 B게임 광고가 나타나는 셈이다. 게임을 하지 않는 불특정 다수에게 까지 지상파 방송 광고가 난립하는 현실을 바꿔보겠다는 취지다.
카카오는 게임 개발사가 카카오게임 애드플러스(AD+)라는 광고 프로그램을 도입하면 기존 21%인 카카오 입점 수수료를 차등 적용할 예정이다. 수수료를 깎아주는 대신에, 광고 프로그램을 통해 수익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개발사의 수익성을 키워주는 대신에, 카카오 역시 게임 광고 시장의 큰 손으로 거듭나겠다는 의미다.
이는 경쟁사인 네이버가 광고를 통해 급격한 매출 신장을 거둔 점을 벤치마킹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네이버는 지난해 4분기 8900억원의 매출액 중 광고가 차지한 부분이 6500억원에 이른다. 연간으로 봐도 총 2조3000억원을 광고로 벌여들였는데, 이는 전년대비 15% 증가한 수치다.
카카오는 게임 매출 비중이 20%에 이를 만큼 의존도가 높고 광고 매출은 60% 정도이다. 카카오는 네이버보다 모바일 신규 서비스 라인업이 다양한 만큼 이를 모두 광고로 연계해 매출 규모를 더욱 끌어올리겠다는 심산이다. 더불어 중소사들과 함께 간다는 인식을 줘 광고를 원하는 업체들의 '네이버 의존증'을 줄여보겠다는 의지다.
특히 네이버의 경우 모바일 광고 비중이 40%에 불과한 만큼, 카카오 입장에선 다양한 신사업을 기반으로 모바일 광고 상품을 잇따라 출시할 전망이다. 당장 상반기 출시를 앞둔 카카오헤어샵의 경우, 오프라인 매장의 다음 검색 광고와 카카오톡 노출 빈도를 연계하는 광고 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유료택시 사업인 카카오블랙과 핀테크 등 신사업의 수수료 매출이 크지 않아 보이고, 캐시카우인 게임에서도 뚜렷한 매출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운 만큼 광고 매출을 늘려서 현찰을 확보하려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한편 KT경제경영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PC와 모바일의 온라인 광고 점유율은 약 8:2로 PC 온라인 광고에 투입되는 광고비가 월등히 높았다. 하지만 4년 후인 2019년에는 모바일 광고비 점유율이 PC 광고비 점유율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된다. 총 광고비 중 모바일 광고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현재 9% 수준에서 2019년 25%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뉴스핌 Newspim] 이수호 기자 (lsh599868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