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인물.칼럼

속보

더보기

고가예술품 싹쓸이 수집. 중국 슈퍼리치 11인 아트테크 취향

기사입력 : 2016년04월28일 16:30

최종수정 : 2016년04월28일 17:37

선호 작품 금액 불문 낙찰, 글로벌 옥션 시장서 위협적인 식욕

[편집자] 이 기사는 04월 12일 오후 5시19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이지연 기자] 부자들의 영원한 재테크 수단 예술품 수집. 중국의 내로라하는 슈퍼리치들 또한 아트테크에 열광하며 왕성한 수집욕을 과시하고 있다. 중국 부자들이 어떤 작가와 예술품에 열광하는지 파헤쳐본다.

◆ 왕젠린 완다그룹 회장: 중국 근현대 작품부터 피카소까지

중국 최고의 슈퍼리치 왕젠린(王健林) 완다그룹 회장은 자타공인 경매업계의 큰손이다. 1990년대 초부터 예술품을 수집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중국 근현대 예술가의 작품을 대거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선호 작가로는 푸바오스(傅抱石) 류하이쑤(劉海粟) 리커란(李可染) 판톈수(潘天壽) 황빙훙(黃兵虹) 우관중(吳冠中) 등이 있다.

2013년 11월 완다그룹 수집팀은 뉴욕 크리스티 미술품 경매에서 2820만달러에 파블로 피카소의 ‘클로드와 팔로마’를 낙찰 받았다. 바로 이때부터 왕젠린 회장은 고갱, 세잔느, 피사로 등 서양 추상주의·인상파 화가의 작품을 사들이기 시작했다.

왕젠린 회장이 낙찰 받은 파블로 피카소의 '클로드와 팔로마' <사진=바이두>

한편 완다그룹 예술품 수집을 담당하는 궈칭샹(郭慶祥)은 공개석상에서 “중국 당대 예술품은 수집할 가치가 전혀 없다”며 중국 당대 예술품에 대한 구매 의사가 없음을 밝히기도 했다.

◆ 마윈 알리바바 회장: 당대 예술품 수집

마윈과 쩡판즈가 함께 작업한 유화 '도화원' <사진=바이두>

마윈(馬雲) 알리바바그룹 회장은 당대 예술품 위주로 아트테크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이한 점은 마윈 본인도 예술 활동에 참여한다는 것.

2015년 유명 화가 쩡판즈(曾梵志)와 함께 마윈 회장이 직접 참여한 첫 유화작품 ‘도화원(桃花源)’이 홍콩 소더비 경매에서 무려 4220만홍콩달러(당시 약 64억원)에 낙찰된 바 있다. 경매를 통한 수익 전액은 도화원 펀드에 기증해 환경보호 공익사업에 쓰인 것으로 알려졌다.

류이첸 선라인그룹 회장: “경매장에선 내가 제일 잘 나가”

류이첸 선라인그룹 회장 <사진=바이두>

초등학교 출신 택시기사에서 자수성가로 억만장자 거부가 된 아트테크 귀재 류이첸(劉益謙) 선라인그룹 회장은 지난해 모딜리아니의 걸작 ‘누워있는 나부’를 세계 미술품 경매사상 두 번째 최고가인 1억7040만달러(당시 약 1971억원)에 낙찰 받아 크게 화제가 됐다.

지난 5일 홍콩 소더비 중국 서화 춘계경매에서는 20세기 중국 대표 화가 장다첸(張大千) 말년의 걸작 ‘도원도(桃園圖)’를 2억7000만홍콩달러에 사들이기도 했다. 

각자 미술관을 보유하고 있는 류이첸·왕웨이(王薇) 부부는 고대 서화, 근현대 서화, 공산당 혁명 작품, 당대 회화, 당대 조각, 설치예술, 골동품 등 다양한 예술품을 소장하고 있다. 최근 부부는 ‘완바오룽(萬寶龍) 국제예술찬조대상’을 또 다시 수상하는 영예를 안기도 했다.

◆ 천둥성 타이캉생명보험 회장: 중국 현대사 전환기 작품 마니아

천둥성 타이캉생명보험 회장 <사진=바이두>

천둥성(陳東升) 타이캉(泰康)생명보험 회장은 공석에서 수 차례 천이페이(陳逸飛)의 1972년 유화 ‘황해송(黃河頌)’을 가장 좋아한다고 밝혀왔다. 천 회장의 수집품 대다수는 현대 중국 전환기의 작품으로, ‘중국인민이 일어났다(中國人民站起來了)’ ‘1949난징해방(1949南京解放)’ ‘아담과 이브(亞當夏娃)’ ‘대화(對話)’ 및 우인셴(吳印鹹)의 1942년 사진작품 ‘마오쩌둥(毛澤東)’ 등을 소유하고 있다.

타이캉그룹 산하 예술품 수집부 ‘타이캉 스페이스(泰康空間)’는 중국 당대 예술 발전단계의 면면을 드러내는 작품 수집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그룹 오너의 간섭을 받는 다른 기업과는 달리 유명한 당대 예술 기획가인 탕신(唐昕)이 독자적으로 예술품을 수집하는 것도 주목할 만한 점이다.

◆ 쉬자인 헝다그룹 회장: 영남화파에 꽂히다

쉬자인(許家印) 헝다그룹 회장은 비교적 늦게 예술품 수집에 뛰어들었음에도 거액을 투척해 영남화파(嶺南畫派)의 작품을 쓸어담고 있다. 영남화파는 광둥성(廣東省) 광저우(廣州)에서 시작됐으며, 아름다운 남쪽 지방의 풍경 등을 사실적으로 묘사, 서양의 기법을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2010년 9월, 쉬자인 회장은 영남화파 화가 저우옌성(周彥生)의 대표작 ‘춘풍함소(春風含笑)’를 1120만위안에 매입했다. 이어 2011년 춘계경매에서는 ‘풍래향기원(風來香氣遠)’ ‘동풍부귀관군방(東風富貴冠群芳)’ ‘화조사병(花鳥四屏)’을 1281만위안에 사들였다.

저우옌성의 작품 '춘풍함소' <사진=바이두>

◆ 왕중쥔 화이브라더스 회장: 천이페이의 열렬한 팬

왕중쥔 화이브라더스 회장 <사진=바이두>

왕젠린 완다그룹 회장, 류이첸 선라인그룹 회장이 수집품을 은행 금고와 미술관에 보관하는 것과는 달리 왕중쥔(王中軍) 화이브라더스 회장은 수집품을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하는 점이 재미있다.

왕 회장은 유화와 구리 조각품 위주로 수집하고 있다. 천이페이(陳逸飛) 아이쉬안(艾軒) 양페이윈(楊飛雲) 왕이둥(王沂東) 위안정양(袁正陽) 등의 당대 작가를 선호하며, 구리 조각품은 대부분 유럽에서 구입해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중국의 저명한 유화가 천이페이의 열렬한 팬으로 잘 알려진 왕 회장은 수영장으로 통하는 자신의 저택 복도에 천이페이의 작품 ‘연연(娟娟)’을 몇 년 동안이나 걸어놓은 것으로 유명하다. 이 작품은 그가 경매를 통해 400만위안에 낙찰 받았다.

한편 왕 회장과 절친한 유명 영화감독 펑샤오강(馮小剛) 또한 왕 회장의 영향을 받아 예술품에 관심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 다이즈캉 정다그룹 회장: 고전 서화 마니아

다이즈캉 정다그룹 회장 <사진=바이두>

다이즈캉(戴志康) 정다(證大)그룹 회장은 상하이 푸둥(浦東) 히말라야 센터 옥상의 중국식 정원 사무실에 쉬베이훙(徐悲鴻)의 작품 ‘성사도(醒獅圖)’를 걸어놓을 정도로 중국 고대 및 근현대 서화에 푹 빠져있다.

그가 수집한 작품으로 명대 문정명(文征明)의 ‘산수수권(山水手卷)’ 일부, 청대 공현(龔賢)의 ‘정벽비천도(靜壁飛泉圖)’와 ‘인마도(人馬圖)’, 64쪽에 달하는 청대 건륭황제 서예작품 및 황도주(黃道周), 동기창(董其昌), 왕원기(王原祁), 임백년(任伯年)의 서화작품 등 수십 점에 달한다.

다이 회장에 따르면 현재 상하이 히말라야 미술관에서 소장 중인 중국 고전 서화의 총 가치는 10억위안을 웃돈다. 왕젠린 완다그룹 회장처럼 다이즈캉 회장 또한 중국 당대 예술품과는 거리가 먼 편이다.

◆ 쑨광신 광후이그룹 회장: 중국 근현대 거장 작품 대거 보유

쑨광신 광후이그룹 회장 <사진=바이두>

신장(新疆) 지역 최고의 갑부 쑨광신(孫廣信) 광후이그룹 회장도 예술품에 조예가 깊은 수집광이다. 주로 근현대 시기 서화를 모으고 있으며, 오창석(吳昌碩) 제백석(齊白石) 황빙훙(黃兵虹) 쉬베이훙(徐悲鴻) 판톈수(潘天壽) 푸바오스(傅抱石) 장다첸(張大千) 스루(石魯) 린펑몐(林風眠) 리커란(李可染) 등 대가의 작품을 폭넓게 소장하고 있다.

2012년 쑨 회장의 수집 에이전트 바오밍산(包銘山)은 자더(嘉德) 춘계경매에서 근현대 미술 거장 리커란의 ‘소산(韶山)’을 1억2420만위안에 낙찰 받았다. 앞서 2011년에는 2억6680만위안에 쉬베이훙의 ‘구주무사낙경운(九州無事樂耕耘)’을 낙찰 받아 쉬베이훙 작품 중 최고 낙찰가를 갱신하기도 했다. 쑨 회장이 지난 10여년간 수집한 중국 근현대 거장의 서화작품은 500점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 장란 차오장난 회장: 경매장 앞줄은 늘 내 자리

고급 레스토랑 체인 차오장난(俏江南 초강남)의 장란(張蘭) 회장은 늘 본인이 직접 경매에 참여하는 열혈 수집가로 잘 알려진 인물.

장란 차오장난 회장 <사진=바이두>

2007년 11월 중국 바오리(保利) 추계경매에서 류샤우둥(劉小東)의 초대형 유화작품 ‘신삼협이민(新三峽移民)’을 2200만위안에 낙찰 받으며 중국 당대예술 시장의 다크호스로 떠올랐다. 같은 해에 장 회장은 팡리쥔(方力鈞)의 작품 ‘1997.1’을 1030만4000위안에 구입했다. 이는 팡리쥔 작품의 중국 내 낙찰가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준.

10년 전 장 회장이 수집한 예술품 가운데 절반 이상은 그녀가 직접 경매에 참가해 낙찰 받은 것으로, 경매에 나온 30~50%의 작품을 독식하기도 했다. 장 회장 침실에는 여류화가 판위량(潘玉良)의 자화상 ‘판위량(潘玉良)’이 걸려있다고 한다. 3억위안을 들여 지은 차오장난의 프라이빗 클럽 란후이쒀(蘭會所)에는 유화 약 1600점이 진열돼 있다.

◆ 천리화 푸화그룹 회장: 자단박물관에 생명력을 불어넣다

천리화 푸화그룹 회장 <사진=바이두>

베이징 이화원(頤和園)에서 태어나고 자란 만족(滿族) 황실 혈통의 중국 최고 여성 갑부 천리화(陳麗華) 푸화그룹 회장은 조상이 대대로 남긴 각종 자단(紫檀)목 가구, 가자상(架子床) 등을 소유하고 있다. 어렸을 때부터 화려하면서도 우아한 목재 가구들을 보고자라 안목이 뛰어난 편.

천 회장은 1999년 자단박물관을 세워 수백 명에 달하는 장인을 고용, 고궁의 문화재를 옛 모습 그대로 부활시켰다. 문화재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대역작이라 입을 모은다.

◆ 액션배우 성룡: 창고 8곳에 가득 들어선 수집품

성룡 <사진=바이두>

성룡은 1985년부터 온갖 고택을 사들인 것으로 유명하다. 최근 몇 년 동안 성룡은 안후이(安徽) 지역의 독특한 건축양식인 휘파(徽派) 고택 7채, 정루(亭樓) 2채를 매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3년에는 본인 소유의 옛 건축물을 싱가포르에 기증하기도 했다.

고택 외에도 성룡은 창고 8개를 가득 채울 규모의 예술품을 소유하고 있다. 쉬베이훙의 그림과 더불어 200만위안을 훌쩍 뛰어 넘는 말 안장까지도 폭넓게 수집한다.

[뉴스핌 Newspim] 이지연 기자 (dela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폭염에 '온열질환자' 속출…환자 425명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지난 30일 서울 전역에 첫 폭염주의보가 시작되면서 올해 온열질환자가 400명을 넘었다. 1일 질병관리청의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에 따르면 지난 5월 15일부터 6월 29일까지 집계된 온열질환자는 425명으로 사망자는 3명에 달했다. 온열질환은 더운 날씨로 인해 열탈진, 열사병, 열 부종 등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40도 이상의 고열이나 현기증, 두통, 오한 등이 나타난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서울 전역에 올해 첫 폭염주의보가 발효된 30일 오후 서울 성동구 마장역 인근에서 시민들이 양산을 쓰고 뜨거운 햇볕을 피해 걷고 있다. 2025.06.30 yooksa@newspim.com 기상청은 지난 30일 서울 전역과 경기도 과천, 성남, 구리, 화성에 올해 첫 폭염주의보를 발령했다. 경기도 가평, 광주는 폭염주의보가 폭염경보로 격상됐다. 1일에도 서울의 낮 최고기온은 30도, 강릉 35도, 대전 32도, 광주 35도, 제주 31도로 더운 날씨가 계속될 전망이다.  날씨가 더워지면서 온열질환자 수도 점차 늘고 있다. 지난 5월 15일부터 5월 31일까지 온열환자 수는 62명으로 사망자는 없었다. 이 기간 중 하루 최대로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는 21명이다. 반면 지난 28일에는 하루 최대로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가 52명으로 늘었다. 지난 1일부터 29일까지 집계된 온열질환자 수는 361명으로 사망자는 3명에 달하며 급증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연령별 현황에 따르면 온열질환자는 대부분 고령층에서 발생했다. 60대가 78명(18.4%)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70명(16.5%), 30대와 40대는 각각 61명(14.4%)으로 집계됐다. 온열질환자가 속출하는 직업은 미상을 제외하고 단순 노무 종사자로 68명(16%)에 달했다. 농림어업숙련종사자 40명(9.4%), 무직 39명(9.2%) 순으로 나타났다. 열탄진으로 인한 온열질환자는 222명(52.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열사병 85명(20%), 열경련 61명(14.4%), 열실신 53명(12.5%)이다. 하루 중 온열질환이 가장 많이 발생한 시간대는 오후 4∼5시(13.6%)다. 오전 10∼11시(11.8%), 오후 3∼4시(11.5%) 등의 순이었다.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물을 자주 마시고 시원한 곳에서 지내야 한다. 더운 시간대의 활동을 자제하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체온 조절이 원활하지 않은 만성질환자, 어린이, 어르신은 더위에 오래 노출되지 않도록 더욱 주의해야 한다. 육현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온열질환은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더운 낮 시간대 활동을 피하는 것만으로 예방이 가능한 질환"이라며 "방치할 때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육 교수는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등 온열질환이 발생할 경우 체열을 신속히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옷을 느슨하게 풀고, 찬물에 적신 수건을 몸통에 덮거나 겨드랑이와 사타구니 부위에 찬 물병이나 선풍기 바람을 활용해 체온을 낮추는 응급조치가 도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sdk1991@newspim.com 2025-07-01 11:24
사진
내란 특검 "5일 오전 9시까지 출석 통지"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내란 특검(특별검사)'이 1일 윤석열 전 대통령 측에 2차 소환조사 일자를 다시 통지했다. 특검팀이 다시 통지한 일자는 오는 5일 오전 9시다. 박지영 특별검사보(특검보)는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윤 전 대통령이 금일 특검 출석에 응하지 않고 불응했다"며 "윤 전 대통령에게 오는 5일 오전 9시까지 출석하라고 통지했다"고 밝혔다. 윤석열 전 대통령. [사진=뉴스핌DB] 박 특검보는 "(윤 전 대통령이) 5일 오전 9시 출석하지 않는 경우 어떻게 조치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전날 윤 전 대통령 측이 제출한 의견서에서 5일 이후 출석에는 응하겠단 의사를 밝히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만약 그때도 출석에 응하지 않으면 요건이 다 갖춰진 이상 법원에서도 (체포영장을) 내주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박 특검보는 특검이 재통보한 일정에 윤 전 대통령이 응하지 않는 경우 형사소송법상 마지막 단계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hyun9@newspim.com 2025-07-01 11:29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