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유가 및 환율 상승 여파..인플레이션 우려 커질 듯
[뉴스핌=김선엽 기자] 지난달 수입물가지수가 전월 대비 4.3% 상승했다. 2010년 12월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수입물가 상승은 수개월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준다.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의 대통령 당선 이후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인플레이션 압력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 |
수입자물가지수 전년동월대비 등락률<출처:한국은행> |
한국은행은 14일 우리나라 10월 수출물가가 국제유가 및 달러/원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4.3% 상승했다고 밝혔다. 전년동월대비로는 0.6% 하락했다.
두바이유가는 9월 배럴당 43.33달러에서 10월 48.97달러로 전월 대비 13.0% 올랐고, 같은 기간 달러/원 평균 환율은 1107.49원에서 1125.28원으로 상승했다.
이에 따라 원재료 수입물가는 광산품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12.2% 급등했다. 중간재는 석탄 및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2.6% 상승했다. 자본재 및 소비재는 전월 대비 각각 1.0%, 0.9%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돼지고기와 커피가 각가 31.9%, 16.2% 오르며 물가지수 상승세를 견인했다. 아연광석과 망간광석도 각각 전년비 53.6%, 113.9% 상승했다.
10월 수출물가 역시 전월 대비 3.2%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1.6% 하락했다. 농림수산품이 전월 대비 1.0% 상승했고 공산품은 전기 및 전자기기와 석탄 및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3.2% 올랐다.
[뉴스핌 Newspim] 김선엽 기자 (sunu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