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TAD '2016 세계 통계핸드북'…"北, 소득 낮은 개발도상국"
[뉴스핌=이영태 기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등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북한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 FDI)는 전년도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대외교역 규모는 전년보다 감소했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20일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는 최근 발표한 '2016 세계 통계핸드북'를 인용해 지난해 북한으로의 외국인 직접투자(FDI) 순유입액이 8300만달러(약 989억원)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 |
2016년 3월 4일 중국 랴오닝성 단둥시 외곽 지역인 동강에서 바라본 북한의 작은 포구에 무연탄을 정리하는 사람들이 보인다.<사진=뉴시스> |
VOA는 "이런 규모는 2014년의 약 6300만달러보다 30% 가량 늘어난 것"이라며 "북한에서 2012년 2억2000만달러였던 외부투자 순유입액은 2013년에 약 8300만달러로 크게 줄었고, 이어 2014년에도 줄어든 뒤 지난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UNCTAD 보고서는 북한을 '소득이 낮은 개발도상국(Low-Income Developing Countires)'으로 분류했다. 북한의 외부 투자 순유입액은 개발도상국들 가운데서도 하위권에 속한다. 2015년 한국으로 유입된 외국인 직접투자액은 약 50억달러로 북한의 60배가 넘는다.
보고서는 또 2015년 북한의 상품 교역 규모가 전년 대비 12.7% 감소한 것으로 추정했다. 북한의 상품 교역 규모는 지난 몇 년 사이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2013년에는 3% 줄었지만 이듬해 눈에 띄게 늘었고, 2015년에는 다시 줄었다.
북한의 상품 수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품목은 석탄이었다. 2015년 북한의 석탄 수출 규모는 약 15억달러로 전체 수출에서 38.46%를 차지했다. 북한의 석탄 수출은 개발도상국 석탄 수출에서 4.95%, 그리고 전세계 석탄 수출에서 1.8%의 비중을 차지했다.
[뉴스핌 Newspim] 이영태 기자 (medialy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