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스핌=이지은 기자] 류승범이 거친 폭력과 그로 인한 파멸을 그린 연극 '남자충동'으로 난생처음 연극무대에 오른다.
19일 서울시 종로구 동숭동 CJ아지트에서 연극 ‘남자충동’ 연습실 공개 및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는 조광화 연출가를 비롯해 류승범, 박해수, 손병호, 김뢰하, 황영희, 전역산 등 배우들이 참석했다.
연극 ‘남자충동’은 가부장 지향의 남자들이 ‘강함’이라는 판타지를 실현하고, 그로 인해 드러나는 폭력성향으로 결국 파멸하는 과정을 그렸다. 폭력조직의 보스 이장정(류승범‧박해수)이 놀림 받는 자폐 여동생 달래(송상은‧박도연)를 보호하기 위해 더 강해져야겠다는 결심에서 이야기가 출발한다.
이 작품은 액션물이 아닌, 폭력적 행동에 이르는 과정인 ‘폭력충동’을 묘사했다. 거창한 이유로 위장된 폭력의 허위를 풍자하고 그 심리적 과정을 담아냈냈다. 또 남자의 헛된 폭력충동과 그 허위의 삶을 이야기한다.
![]() |
이날 조광화 연출가는 “‘남자충동’이 20주년이라 스케일이 조금 커졌다. 이 작품을 자주 공연하지 못했다. 배우 찾는 것도 쉽지가 않았다. 그런데 오래전부터 같이 해보고 싶었던 류승범, 박해수 등 다른 배우들과 함께 할 수 있어서 설렌다”며 작품을 올린 소감을 전했다.
류승범은 “처음에 장정 역할을 제의받고, 좋은 기회가 될 거라고 생각했다. 모든 배우들을 통해 많은 걸 배울 수 있어서 개인적으로 뜻 깊은 시간을 보내는 것 같다”고 말했다.
같은 역할을 맡은 박해수 역시 “20주년 기념 공연을 참여할 수 있게 돼 감사하다. ‘남자충동’이라는 어려운 작품을 제안해주셨을 때, 제 나이에 가능할까 걱정했다. 류승범 선배와 같이 할 수 있다는 것이 도움이 많이 됐다. 오랜만에 연극을 하게 돼 정말 좋았다”고 덧붙였다.
류승범의 연극 도전은 조금은 특별하고, 생소하게 다가온다. 그는 이 작품을 선택하게 된 이유를 “연극예술의 호기심”이라고 밝혔다. 류승범은 “연극을 보고 이 작품이 무대에 올라가는 모습을 상상해봤다. 정말 해보고 싶었다. 연극이라는 것이 어떤 것일지도 궁금했다”고 설명했다.
![]() |
이어 “본격적으로 연극을 시도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이 작품 때문에 들었다. 극 중 캐릭터가 사투리를 쓰는데, 어려운 부분은 황영희 선배가 전라도 목포 분이라 많은 지도를 받았다. 대본 위주로 열심히 연습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실상 ‘남자충동’은 겉으로 봤을 때 폭력적인 부분이 부각된다. 하지만 이를 풍자하는 것이 숨은 의도이자, 연출이다.
조광화 연출가는 “초연 당시 조폭영화가 굉장히 많았다. 하지만 그때 영화에서는 폭력적인 부분을 미화했다. 이 연극은 가짜욕망, 헛된 욕심을 쫓아가면서 스스로를 불행하게 하고 있는지 묻는다. 사람들이 왜 폭력적인 부분으로 빠지는지 담아보려고 애쓰고 있다”며 연출가로서 애로사항을 털어놨다.
이어 “공연문화의 배우 트렌드가 부드러워지고 있는 것 같다. 보는 관객들도 강한 이미지를 불편해하실 거라고 생각했다. 작품을 올리지 못한 건 이런 이유 때문이었다. 배우들도 거친 에너지가 있는 사람들이 없어지고 있는 것 같다. 장정은 이번 스토리만 따라가면 재미가 없기에, 강함과 부드러움이 동시에 있는 배우가 필요했다. 그런 부분에서 충족 되는 사람이 바로 류승범과 박해수”라고 배우들을 극찬했다.
![]() |
사실 류승범의 연극 도전은 생소하게 다가온다. 스크린에서도 오랜 공백이 있었기에, 복귀작으로 연극을 택한 이유가 새삼 궁금했다. 류승범은 “연극을 택한 특별한 이유는 없다”고 털어놨다.
그는 “최근에 연극예술에 대한 호기심이 생겼다. 이 작품을 통해 새로움을 많이 보고 배우고 있다. 처음에는 무대에서 걷고, 뛰고 하는 부분들이 있어서 개인적으로 혼란스러운 시간을 겪었다. 지금은 굉장히 즐겁게 배우고 있다. 연극예술에 참여하면서 이 무대에 서서 한다는 것이 개인적으로 큰 걸 배우고 돌아갈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연극 ‘남자충동’은 오는 2월 16일부터 3월 26일까지 대학로 TOM(티오엠)에서 공연된다.
[뉴스핌 Newspim] 이지은 기자 (alice09@newspim.com)·사진-프로스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