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펀드 5000억원 규모 확대
해운·조선업 상생지원 도모
[세종=뉴스핌 최영수 기자] 문창용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은 22일 "캠코를 중심으로 금융공공기관 부실채권 관리를 일원화해 취약계층의 재기를 적극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문 사장은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올해 업무계획을 설명했다.
이는 정부가 추진 중인 '금융공공기관 부실채권 관리 제도개선 방안'의 일환으로 부실채권 장기·중복 관리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 |
문창용 캠코 사장이 2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올해 사업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캠코> |
문 사장은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 예금보험공사, 주택금융공사 등 4개 금융공공기관과 함께 채권인수 규모와 가격을 협의 중"이라며 "하반기 중 채권을 인수할 계획"이라고 제시했다.
그는 이어 "채무조정 지원 과정에서 도덕적 해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채무자의 소득·재산 등 상환능력을 철저히 검증함으로써 실제 재기가 필요한 채무자를 선별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캠코는 지난 2011년부터 신보·기보 등 7개 금융공공기관이 보유한 공공채권 14조5000억원을 인수해 중소기업인 8789명을 대상으로 약 5000억원 규모의 채무조정을 지원했다.
캠코는 또 해운업과 중소기업에 총 1조원 규모로 유동성을 공급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는 상시 구조조정기구로서 입지를 강화할 방침이다.
지난 2015년부터 위기에 처한 해운업의 유동성 지원을 위해 총 4108억원 규모의 캠코선박펀드를 통해 11개 해운사 선박 18척을 인수했다.
문 사장은 "올해도 펀드규모를 2000억원에서 5000억원으로 늘리고, 한국선박해양(주)과 선박 신조 지원프로그램에 각각 1000억원씩 출자하는 등 해운업의 위기 상시대응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해운·조선업 상생지원을 도모해 나갈 것"이라고 제시했다.
또한 "중소기업의 경영정상화 지원을 위해 '자산매입 후 임대' 프로그램을 운영해 2015년부터 2년간 총 8개사 대상 1200억원을 지원했다"며 "인수대상에 대기업까지 포함하는 등 기업 구조조정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올해 총 1조7000억원 규모의 국유지 개발사업이 진행되는 '국유건축 사업의 원년'으로서 개발사업의 차질없는 이행을 통해 재정증대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자료: 캠코) |
[뉴스핌 Newspim] 최영수 기자 (drea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