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삼성SDI·SK이노베이션 등 노심초사
[편집자] 이 기사는 3월 24일 오후 4시34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이동현기자]한국 배터리업체가 사드갈등으로 인해 중국 정부의 배터리 모범규준인증 획득이 불투명해진 사이 중국 배터리 업체들은 파죽지세로 규모를 확장하며 한발 앞서가고 있다.
중국리튬전지망(鋰電網)에 따르면, 2016년 중국 배터리업체의 출하량은 30.5 기가와트(Gwh)에 달하며 전년동기대비 79.4% 증가했다. 여기에다 중국은 글로벌 배터리 업체 상위 10위권 내에 BYD·CATL,완샹 등 4개사를 진입시키며 2016년 상반기 글로벌 배터리시장 점유율 27%를 차지했다. 중국 배터리 업체들은 한국의 배터리 업체인 LG화학·삼성SDI·SK이노베이션의 전체 점유율(합계 14%)을 제치면서 한중 배터리 업체간 시장구도는 완전히 역전됐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삼성 SDI가 최근 시안공장의 증설을 연기하는 등 한국 배터리 업체들의 생산활동이 위축된 상황이다. 그동안 한국 배터리업체들은 대규모 투자를 통해 중국 현지 생산라인을 구축했지만 사드갈등으로 인해 중국시장에 공들인 노력이 물거품이 될 상황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자료=중국리튬전지망(鋰電網)> |
◆중국 배터리산업 규모화를 통해 시장 장악
최근 몇년간 중국업체들은 배터리 출하량을 세자리 수 이상 증가시키며 발빠르게 양적 성장에 나서고 있다. 중국은 리튬 전지분야에서 10년전 태양광 산업과 유사하게 대규모 투자를 집행하고 있다.
시장전문가에 따르면,2020년까지 중국 전기차 생산규모가 200만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중국 배터리 업계도 연평균 40%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자동차 산업이 본격적인 전기자동차 시대를 맞이하면서 리튬전지 산업은 초고속 성장기를 맞이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중국의 리튬전지 업계는 규모화를 실현하며 물량으로 경쟁업체를 압도하고 있다.
특히 BYD,CATL,워터마(沃特玛),궈쉬안커지(国轩高科),리선(力神)등 상위 5개사로 이뤄진 1진(First-tier) 업체의 생산능력은 다른 중국 배터리 업체의 생산능력의 2배에 달한다. 2016년 상위 5개사의 배터리 출하량은 20Gwh(기가와트)에 달하며 전체 중국시장 점유율 75% 이상을 차지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중국의 리튬전지 생산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해서 2020년까지 현재(약 30기가와트)의 4배규모인 121기가와트(GWh)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중국정부도 배터리 산업 육성을 위해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중국정부가 2012년 이후 지급한 누적 전기차 보조금규모는 10억 달러에 달한다. 이런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BYD는 글로벌 2위의 배터리 업체로 도약하며 1위 파나소닉과의 격차를 좁혀갔다.
중국 배터리 2위업체인 CATL(宁德时代新能源)의 생산 능력은 2016년 7.6기가 와트에 달했고 2020년까지 50기가와트까지 생산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다. CATL은 중국 업체 중 유일하게 해외 자동차업체에 베터리를 공급할 정도로 탁월한 기술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로는 BMW , 폭스바겐이 꼽힌다.
그외에 중국 당국은 리튬전지산업을 신속히 성장시키기 위해 신에너지정책을 통해 ‘배터리 산업굴기’를 추진하고 있다.
2016년에 발표된 전기차 보조금 요건에 따르면 배터리업체가 최소 8GWh의 생산능력을 갖춰야만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했다. 이런 조건을 충족시키는 업체는 중국에서 BYD,CATL 두개 업체에 불과하다.이는 상위업체를 중심으로 규모화를 실현하겠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한국의 배터리 업체들은 2016년 상반기 중국 공신부(工信部)의 4차 전기차 배터리 모범규준 인증에서 탈락했다. 삼성SDI, LG화학 등 한국 업체는 연간 생산규모 및 중국 내 생산 기간 등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면서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됐다.
◆한국 배터리업체 중국 영업 전망 불투명
한국 배터리업체들은 올해로 예정된 5차 배터리 모범규준에서도 인증획득을 장담할 수 없어 중국 시장 공략이 답보상태에 놓일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중국 매체 신랑커지(新浪科技)에 따르면, 최근 삼성 SDI는 시안(西安) 공장의 신규 생산라인 증설계획을 연기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삼성 SDI는 2020년까지 6억 달러를 투입해 시안의 배터리 생산라인을 증설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삼성측은 기존 공장의 생산 물량도 처리못하는 상황에 몰리면서 생산 라인 증설 계획을 재고할 수 밖에 없게 됐다.
삼성 SDI는 중국 정부의 전기차 배터리 공급업체에 대한 보조금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재고가 증가하고 있는 여건을 고려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전해졌다.
중국 정부 보조금혜택 없이는 저가의 중국산 배터리와 비교해볼 때 삼성 SDI의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 자동차는 가격 경쟁력을 상실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삼성측은 미국을 포함한 해외시장 개척을 통해 중국 현지생산라인의 재고물량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삼성 SDI는 최근 캘리포니아의 에너지 저장 프로젝트에서 배터리 공급계약 수주에 성공했다.
이번 수주건으로 삼성은 미국의 에너지 솔류션 업체인 AES에 240메가와트(megawatt)규모의 배터리를 공급할 수 있게 됐다.
이동현 기자(dongxu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