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안철수 '자강론' 외치며 표 결집 나서
대선 후보등록일(4월 15일)이후 단일화 논의 본격화 될 듯
[뉴스핌=조세훈 기자] 문재인 대세론이 현실화되면서 비문(비문재인)진영 연대론이 다시 꿈틀거리고 있다. 다만 지금 당장 후보간 연대가 이뤄지기보다는 각자 지지세를 결집하는 자강론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후보단일화 협상에서 먼저 고지에 올라 주도권을 쥐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 |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바른정당 당사에서 열린 국회의원 및 원외위원장 연석회의에 참석한 유승민 대선 후보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는 그간의 행보와 달리 선(先) 자강론을 내세웠다. 얼마 전 "보수가 흩어지면 승리할 수 있겠느냐"고 했지만 28일 후보자 선출 직후 기자간담회에서는 "제가 단일화를 하려고 출마한 건 아니다"며 '보수후보 단일화 전면 재검토'를 언급했다.
이런 유 후보의 태도 전환은 답보된 지지율을 끌어올려 단일화 협상에서 밀리지 않겠다는 포석으로 보인다. 5월 9일 장미대선의 대진표가 결정되면 흩어져있던 중도, 보수층의 표심을 결집해 어느 정도 균형을 이룬 뒤 단일화에 나서야 승산이 있다고 본 것이다.
유 의원은 29일 자신의 정계 입문을 이끈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를 예방했다. 이 자리에서 이 전 총재는 "안철수 씨도 혼자 ‘내가 된다’ 하고 다니니까 표가 모이는 것 아니냐"며 자강론에 힘을 실어줬다. 유 의원은 다음 주 민주당과 국민의당 경선 이후 낙마자들의 지지층을 흡수하는 '이삭줍기'에 전력투구할 것으로 보인다.
유승민 캠프의 1차 목표는 지지율 10% 달성이다. 그래야 한국당 최종 후보와의 '보수후보단일화'에서 승산이 있으며, 공중전 수행을 위한 자금을 확보할 수 있어서다. 공직선거법상 대선 후보의 득표율이 15% 이상이면 선거비용을 전액, 10%~15%면 절반을 국가에서 보전 받을 수 있다. 10% 이하는 한 푼도 돌려받을 수 없다. 바른정당 한 의원도 "만약 지지율이 나오지 않는 상황에서 선거에 임한다면 본인이나 당이나 모두 어렵다. 결국 결단을 내려야 할 것"이라며 '현실론'을 거론했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는 압도적인 경선 3연승을 달리자 '자강론'의 고삐를 더욱 움켜쥐고 있다. 안 전 대표는 지난 26일 “패권주의에 반대해 온 호남의 통합정신이 국민에 의한 연대를 이끌 수 있다”고 말했다.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도 28일 "후보 선출 후 국민이 자동으로 연합이나 연대, 연정의 길을 만들어주실 것"이라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런 조건을 고려할 때, 비문 진영은 대선 후보등록일인 4월15일까지 '자강론'을 유지한 이후 단일화 논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뉴스핌 Newspim] 조세훈 기자 (askr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