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스핌=최원진 기자] 은퇴 후 해외에서 제2의 삶을 꿈꾸시는 분들이라면 여기 주목해주시기 바랍니다.
잡지 '인터네셔널리빙'은 '2017 은퇴 후 살기 좋은 나라' TOP 10을 소개했는데요.
10. 몰타
![]() |
따뜻한 햇볕과 사파이어 빛 바다로 유명한 곳입니다. 이곳이 왜 살기 좋은 나라냐고요? 우선 일 년 중 300일은 따뜻한 날씨에 겨울은 며칠 없고요. 지중해 섬나라치고 생활비도 크게 들지 않는 곳입니다. 한 달 2700달러(한화 약 304만 원)이면 부부가 생활하기에 충분하다는데요. 몰타 해안가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도시 슬리에마에서 방 두 개 딸린 아파트 월세는 약 800달러(90만 원)라고 합니다.
9. 포르투갈
![]() |
포르투갈은 생활비, 부동산 비용 둘 다 저렴한데요. 부부가 살아가는데 한 달 1700달러(191만 원)이면 충분합니다. 또 날씨도 굉장히 따뜻하며 바닷가도 멋집니다. 과거 영국 식민지였던 포르투갈은 와인과 맛있는 음식으로도 유명한 나라죠. 리스본시에는 각종 편의시설과 문화 행사가 많아 지루할 시간도 없다네요.
8. 니카라과
![]() |
니카라과는 중앙아메리카에 위치한 나라로 따뜻한 기후를 자랑합니다. 왜 살기 좋은 나라일까요? 일단 거주권을 발급받는 데 오래 걸리지 않습니다. 여기에 외국인들의 스타트업을 적극적으로 추천하는데요. 니카라과에서 제2의 비즈니스를 해볼 수 있습니다. 한 달 1500달러(169만 원) 생활비면 넉넉히 지낼 수 있습니다.
7. 스페인
![]() |
스페인은 관광지로 유명한 나라죠. 금전적 여유만 좀 있다면 은퇴 후 살기에도 좋은 나라입니다. 스페인의 소도시는 한 달 생활비 1900달러(214만 원)이면 충분하고 방 두 개가 딸린 아파트 월세는 500달러(56만 원) 정도 입니다.
6. 말레이시아
![]() |
말레이시아는 깨끗하고 편의시설이 많은 곳으로 유명한 나라입니다. 따뜻한 기후에 아름다운 바다, 울창한 열대우림까지 공기도 맑습니다. 생활비도 많이 안 들 뿐만 아니라 의료비도 다른 국가들에 비해 저렴한 편입니다.
5. 콜롬비아
![]() |
훌륭한 의료복지에 따뜻한 기후, 저렴한 생활비로 살기 좋은 나라입니다. 카리브해 바다와 안데스산맥은 아름다운 전경을 자랑하고, 음악과 춤을 사랑하는 콜롬비아인들은 각종 행사와 축제를 즐깁니다. 지루할 틈이 없을 것 같은 이곳의 한 달 생활비는 1250달러(140만 원)면 충분합니다.
4. 코스타리카
![]() |
코스타리카는 아름다운 해변과 따사로운 햇살로 유명한 곳입니다. 특히 코스타리카는 외국인 관광객들은 물론 거주를 희망하는 외국인들을 환영하는데요. 그만큼 이주하는 과정이 까다롭지 않습니다. 한 달 수입 1000달러(112만 원) 이상이라는 증거 서류만 가지고 있다면 이주할 수 있습니다. 한 달 2000달러(225만 원)의 생활비면 충분합니다.
3. 에콰도르
![]() |
에콰도르의 의료복지는 세계 최고 수준이며 부동산이나 생활비 면에서도 부담이 없습니다. 에콰도르는 대중교통 비용 50% 인하, 영화관·스포츠 관람 할인, 각종 편의시설과 문화생활 비용 할인 등 은퇴한 거주민들을 상대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2. 파나마
![]() |
파나마도 합리적인 생활비, 부동산 비용을 자랑합니다. 여기에 은퇴한 거주민들을 위한 혜택이 많은데요. 여행, 의료복지, 호텔, 식당 등 편의시설 할인 10~50%를 제공합니다.
1. 멕시코
![]() |
올해 가장 살기 좋은 나라 1위의 영광은 멕시코에 갔습니다. 미국 국경과 맞닿은 도시들은 높은 강력 범죄들로 몸살을 앓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멕시코란 나라는 큽니다. 조금만 아래로 내려가면 한 달 생활비 1200달러(135만 원)이면 충분하며 월세는 570달러(64만 원) 정도입니다. 또 멕시코는 춤과 음악의 나라이며 맛있는 음식이 가득한 미식의 나라이기도 하죠.
이렇게 리스트업 해보니 은퇴하지 않아도 이주해서 살고 싶은 마음이 드는데요. 내년에는 우리나라도 은퇴한 사람들이 살기 좋은 나라로 선정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뉴스핌 Newspim] 최원진 기자 (wonjc6@newspim.com)·출처(internationalliving.com, 게티이미지뱅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