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현경 기자] 영감을 주고받으며 미술계에 신바람을 불어넣은 작가들. 한마음 한 뜻으로 예술 활동을 하면서 세기에 남을 작품도 남겼다. 자신만의 세계를 확충하면서도 대중과 공감한 작가, 그리고 동시대에 살면서 서로에게 영감이 됐던 작가들을 소개한다.
◇자하 하디드, 루이지 꼴라니의 영향 받아 DDP 설계?
DDP 전경(왼쪽), 루이지꼴라니 작품(1500평방미터에 달하는 면적에 지어질 이 건축물은 기체역학과 바이오닉, 그리고 흐르는 듯 한 선이 조화를 이루는 건축설계다) <사진=DDP 인스타그램, 이현경 기자> |
'산업디자인계의 거장' 루이지 꼴라니(Luigi Colani)는 올해 90세이지만 흐트러진 기세 없이 디자인에 대한 열정을 놓지 않는다. 여전히 '어떤 디자인이 비행기, 자동차를 빠르게 움직이게 할까'에만 신경을 쏟고 있다.
루이지 꼴라니는 바이오(Bio) 디자인에 집중하기로 유명하다. 그는 주로 자연에서 영감을 받으며, 그의 디자인은 부드럽고 인간의 움직임과 곡선에도 잘 맞아 떨어진다. 자연의 형태에 가까운 곡선을 그 누구보다도 잘 이해하고 있는 그는 이를 구현해내는데도 탁월한 재능을 갖고 있다. 릴렉스 체어, 카메라 등 인간의 신체구조에 맞게 디자인됐다.
건축가 자하 하디드(Zaha Hadid)는 루이지 꼴라니로부터 영감을 받아 자연에 가까운 디자인을 설계한 것으로 전해진다. 자하 하디드는 여성 최초로 건축계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받은 인물. 국내에서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를 설계한 건축가로 잘 알려져 있다. DDP는 3차원 비정현 건축물로 유려한 곡선과 곡면이 아름다운 건축물이다. 우주선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그래서 CF나 드라마에서도 미래를 보여주는 배경으로도 자주 등장한다. 최근에는 평창동계올림픽 홍보영상의 배경이 됐다.
루이지 꼴라니는 자하 하디드에 대해 “DDP는 꼴라니의 복사품이라는 느낌이다. 끝”이라며 특유의 자신감이 넘치는 말투로 설명했다. 이어 그는 “30년 전에 자하 하디드와 런던에서 같이 많은 작품을 했다. 같은 예술인이니까 나의 작품을 본 것 같다”면서 “그 뒤로 아름다운 곡선을 사용한 작업을 많이 하더라. 그렇지만 그는 건축가고 나는 디자이너다”라고 말했다.
◇플럭서스 운동에 참여한 백남준, 요나스 메카스, 조지 마키우나스
'플럭서스 가족' <사진=뉴시스> |
미국 아방가르드 영화의 거장 요나스 메카스는 백남준, 앤디 워홀, 오노 요코 등 플럭서스 운동을 함께한 예술과들과 소통했다. 국립현대미술관 김은희 학예연구사는 “1960~1970년대 플럭서스 운동을 하면서 요나스 메카스와 앤디워홀, 오노 요코가 동시대에 활동하면서 서로에게 영감을 줬다”고 전했다. 아방가르드를 이끌었던 오노 요코, 앤디 워홀은 요나스 메카스의 작업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고백한 바 있으며 이는 요나스 메카스의 작품 ‘플럭서스 가족’에서 나타난다. 플럭서스 운동의 창시자인 조지 마키우나스와 당시 아티스트들의 모습이 담긴 40개의 스틸컷이 담긴 작품이다.
김은희 학예연구사는 “백남준은 요나스 메카스의 ‘파괴 4중주’라는 작품에도 모습을 보인다. 백남준이 피아노를 부수는 퍼포먼스가 그대로 담겨있다”라고 말했다. 또한 두 사람의 관계는 굉장히 돈독했다. 김은희 학예연구사는 “처음 백남준이 뉴욕에 왔을 때 요나스 메카스가 경제적으로 많이 도와줬다”라고 덧붙였다. 플럭서스 운동에 함께했던 이들은 예술을 바라보는 관점을 공유하며 작품 활동에 도움을 주는 크루였던 셈이다.
백남준은 플럭서스 운동의 초기 멤버로 요나스 메카스뿐만 아니라 조지 마키우나스와도 적극적으로 의견을 나누며 작품 활동을 했다. 또한 그의 음악 스승인 존케이지, 요셉 보이스도 그의 예술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존케이지와 요셉 보이스의 영향으로 백남준은 행위예술가로 성장할 수 있었다. 백남준은 1959년 11월13일 뒤셀도르프에서 개최한 퍼포먼스 제목에도 존 케이지에 대한 존경심을 담은 공연인 ‘존 케이지에게 경의를 보내며’를 펼친 바 있다.
◇팝아트의 거장 리처드 해밀턴, 마르셀 뒤샹으로부터
리처드 해밀턴(Richard Hamilton)은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국립현대미술관 양옥금 학예연구사는 “리처드 해밀턴은 1950년대 후반부터 마르셀 뒤샹과 지속적으로 연락을 주고 받으며 '녹색상자'등의 작업을 복원, 연구하는 등 뒤샹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라고 전했다.
팝아티스트인 리처드 해밀턴은 일상적인 소재를 작품으로 승화시키는 작업에 매진했다. 마르셸 뒤샹 역시 남성의 소변기, 자전거의 바퀴가 예술 작품이 될 수 있다는 발상의 전환으로 미술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켰다. 마르셀 뒤샹은 남성의 소변기도 예술 작품이 될 수 있다는 걸 보여준 ‘샘’을 만든 작가다. 이처럼 리처드 해밀턴은 마르셸 뒤샹에게 영감을 받아 일상에 있는 것을 콘텐츠화 시키는 작업을 꾸준히 해왔다. 양옥금 학예연구사는 “해밀턴과 뒤샹 간의 영향과 교류는 뒤샹이 창안한 레디 메이드(발견된 오브제를 그대로 작업에 반영하는 방식)와 팝아트가 일상의 오브제와 현대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전반적인 것들 (생활용품, 대중문화, 기술의 발전, 소비문화 등)을 작품의 직접적인 소재이자 주제로 끌어 안았다는 면에서 연관지어 말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1956년 처음 '큰 유리 (Large Glass, 1912-13)'의 다이어그램(도표)을 그린 후 해밀턴은 뒤샹의 작업에 더욱 몰두하게 되었으며, 이후 3년간 이 작업을 구현하는데 바쳤다. 또한 1966년 테이트 갤러리에서 열린 뒤샹의 회고전의 큐레이팅을 맡았다. 양옥금 학예연구사는 ”이 시기에 해밀턴 본인의 작업은 심각하게 제자리 걸음을 했었다는 작가의 이야기가 남아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큐레이팅을 맡았을 정도로 리처드 해밀턴이 마르셀 뒤샹의 작품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고 전했다.
[뉴스핌 Newspim] 이현경 기자(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