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조선 시대 왕비가 사용한 인장 2과가 발굴됐다.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의 허가를 받아 올해 1월16일부터 (재)수도문물연구원(원장 오경택)이 발굴조사 중인 '서울 종로구 통의동 70번지 유적'에서 조선시대 왕비의 인장인 내교인 2과(내교인 1과, 소내교인 1과)가 출토됐다.
서울 종로 통의동 70번지 유적 출토 내교인 <사진=문화재청> |
현재까지 알려진 내교인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 중인 2과가 전부로 발굴조사 중에 내교인이 출토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에 출토된 내교인은 2단으로 구성된 정사각형의 인신 위에 뒷다리는 구부리고 앞다리는 곧게 펴 정면을 보고 있는 동물(추정 충견)형상의 인뉴(손잡이)가 있으며 위로 솟은 꼬리와 목까지 늘어진 귀에는 세밀한 선으로 세부묘사가 되어 있다. 이 내교인보다 다소 크기가 작은 소내교인도 같은 형상인데 동물의 고개는 정면이 아닌 약간 위를 하고 있다. 내교인의 인장은 너비 4cm×4cm, 높이 5.5cm이며, 소내교인은 인장너비 2cm×2cm에 높이 2.9cm이다.
인장의 인면에는 각각 '내교(內敎)'라는 글자가 전서체로 새겨져 있다. 조선왕조실록 영조 14년(1761년)의 기록을 통해 '내교인'은 조선 시대 왕비가 사용한 도장임을 알 수 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소장중인 '명례궁봉하책(明禮宮捧下冊)'과 '명례궁상하책(明禮宮上下冊)'에는 왕실 재산을 관리했던 명례궁에서 관리하는 물품의 종류, 지출내용들이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기록이 적힌 본문에 먹으로 찍힌 '내교인'이라는 글자가 있어 이를 통해 명례궁의 지출에 대한 검수가 왕비전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선과 대한제국의 국새를 포함한 왕실 인사의 보인(왕실 의례용 인장)과 부신(어떤 증표를 찢거나 나누어 서로 지니다가 뒷날 맞추어 증거로 삼은 물건)을 정리해 고종연간인 1902년 무렵 간행된 '보인부신총수'에 내교인과 소내교인 2과에 대한 도설, 크기와 재료 등에 관한 기록이 남아있는데, 이번에 통의동에서 출토된 내교인 2과와 그 조형적 특징이 매우 유사해 주목된다.
이번 내교인 2과가 발굴된 곳은 경복궁의 서문인 영추문 서쪽이다. 주변에는 조선 시대 관청인 사재감 터와 21대 왕 여조의 사가였던 창의궁터가 인저해있다. 조사 결과, 조선 시대부터 근대기에 걸친 건물지 관련 유구 20여 개소와 도자기 조각, 기와 조각 등의 유물도 확인됐다.
출토된 내교인장은 앞으로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이관해 보전처리와 분석과정을 거쳐 유물의 성분과 주조기법 등에 대한 정밀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