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문화·연예 미술전시

속보

더보기

백남준 '알렉산더 대왕', 홍콩서 6억2000만원에 낙찰

기사입력 : 2018년05월29일 11:13

최종수정 : 2018년05월29일 11:25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백남준의 '알렉산더 대왕'이 홍콩 경매에서 454만홍콩달러(6억2000만원)에 낙찰됐다.

Alexander the Great 280 x 135 x 230 cm. (110 3/4 x 53 1/8 x 90 1/2 in.) Executed in 1993 [사진=크리스티 코리아]

크리스티코리아는 26일부터 이틀간 열린 홍콩 크리스티 상반기 '아시아 20세기 &동시대 미술' '우리 시대의 예술가들:동양과 서양의 대화' 경매 결과를 28일 알렸다.

경매에서 6억2000만원(수수료 포함)에 낙찰된 백남준의 '알렉산더 대왕'은 그의 영웅 시리즈 중 하나로 동서를 하나로 이은 고대영웅 알렉산더 대왕을 모티브로 했다. 머리에 '왕(王)'이 새겨져 있는 모습이 인물의 리더십과 카리스마를 드러낸다.

이 작품은 1993년 베니스비엔날레 독일관에서 선보인 바 있다. 크리스티 코리아 관계자에 따르면, 베니스비엔날레 독일관에서 이 작품이 공개됐을 때 큰 반향을 일으켰다.

PARK SOO-KEUN (KOREA, 1914-1965), Untitled, oil on hardboard, 36.7 x 24.5 cm. (14 ½ x 9 5/8 in.) [사진=크리스티 코리아]

사실 이 작품은 추정가(400만~600만 홍콩달러)보다 조금 낮은 454만 홍콩달러에 그쳤다. 크리스티 코리아 관계자는 뉴스핌에 "설치물이라 집에 두기는 어렵다 높이가 280cm다. 크기가 있어서 일반 개인콜렉터가 두기에 쉽지 않은 작품이지만, 관심을 가진 분들은 많았다"고 전했다.

박수근(1914~1965)의 '무제'는 466만 홍콩달러(6억4000만원)에 낙찰됐다. 크리스티 코리아 측에 따르면 이 작품 경매 시장에 처음 나온 작품으로 현장에서 관심을 받았다. 크리스티 코리아 관계자는 "미국에서 나온 작품이다. 프레임도 당시 그대로다. 박수근 작가는 전쟁 후에 미군 부대 근처에서 그림을 판매했고, 당시 미군들이 기념품처럼 작가의 작품을 사갔다"고 설명했다.

ZAO WOU-KI (ZHAO WUJI, FRANCE/CHINA, 1920-2013) 14.12.59, oil on canvas, 130 x 162 cm. (51 1/4 x 63 7/8 in.) [사진=크리스티 코리아]

이성자(1918~2009)의 'Vénus N°1'은 322만 홍콩달러(4억4000만원)에 낙찰됐다. 크리스티 코리아 측은 "고객이 관심을 가진 이유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기념 전시하고 있어서 관심을 가졌다"고 현장의 반응을 전했다. 이성자는 구체적인 사물의 형태를 최소화된 단위로 우주를 표현하는 추상작가다.

이날 최고가를 기록한 작품은 중국 출신 유명 현대미술가인 자오우키의 유화 '14.12.59'가 1억7672만5000홍콩달러(242억)에 팔렸다.

홍콩 크리스티 이브닝 경매 총액은 10억4039만홍콩달러(약 1423억원)이다. 

89hklee@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