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월한 미모와 지략으로 세상을 뒤흔든 역대 후궁 5명
[서울=뉴스핌] 이동현기자=‘황제는 천하를 다스리고, 여인은 황제를 지배한다’(皇帝治理天下,而皇帝被女人支配)
중국 황실 여성의 삶을 다룬 역사서를 펴낸 역사 전문작가 샹스(向斯)의 말이다. 중국의 후궁들은 ‘황실의 꽃’에 머물지 않고 빼어난 미모와 지략을 앞세워 남성 못지 않은 역량을 발휘하며 세상을 뒤흔들었다는 평가다.
올 하반기 청나라 후궁들의 치열한 궁중 암투를 다룬 연희공략(延禧攻略), 여의전(如懿傳) 2편의 사극이 대륙을 강타한 가운데, 역사에 한 획을 그은 후궁의 파란만장한 삶도 다시 주목 받고 있다. 황제의 총애에 만족하지 않고 명민한 판단력으로 자기 주도적인 삶을 살아간 시대별 대표적 후궁을 살펴본다.
무측천의 삶을 다룬 드라마 무미랑전기의 한 장면<사진=바이두> |
◆중국 역사의 유일무이한 여황제 무측천(武則天 624-705)
판빙빙이 출연한 중국 드라마로도 널리 알려진 무측천(武則天)은 중국 역사상 유일한 여성 황제로서 막강한 권력을 휘둘렀던 여걸이다. 무측천이란 이름은 690년 황제로 즉위하면서 국호를 무주(武周)로 정한 것에서 유래된다.
무측천은 14세에 입궁해 의복을 담당하는 관직인 상의(尙衣)로 임명된 후 당나라 2대 황제 태종의 성은을 입고 후궁 중에서 가장 낮은 직위인 재인(才人)에 책봉됐다.
당태종이 무측천의 나이 25세에 승하하면서 그는 궁중 관례에 따라 비구니가 될 수 밖에 없었다. 그 후 태종의 아들 고종이 우연히 무측천이 머무는 감업사(感業寺)에 들리면서 그는 입궁하는 기회를 잡게 된다.
돌아온 무측천은 고종의 정비인 왕황후(王皇后) 및 총애를 받는 후궁인 소숙비(蘇淑妃)와 피비린내 나는 대결을 통해 두 명을 성공적으로 제거한다. 당 고종은 655년 무측천을 황후로 책봉하면서 그는 2대에 걸쳐 황제의 사랑을 독차지하는 진기록을 세우게 된다.
이후 무측천은 50년간 권력을 손에 쥐고 당나라를 쥐락펴락한다. 두 아들인 중종과 예종을 차례대로 황제에 등극시켰지만 둘을 폐위시켜 직접 황제의 자리에 오른다. 690년 무측천은 낙양을 수도로 삼고 당나라를 주나라로 바꾼다.
후세 역사가들은 무측천을 요부 혹은 악녀로 평가절하했다. 하지만 무측천은 과거 제도를 도입하고 부국강병에 힘을 쏟으면서 적지 않은 공을 세운 것으로 평가된다. 무측천이 황제로 즉위한 후 사회는 안정되고 국토 면적도 당 태종때 보다 넓어지는 등 태평성대를 실현했다.
◆’평화 전도사’ 흉노로 시집간 절세미녀 왕소군(王昭君 206BC-8AD)
‘봄이 왔으나 봄 같지 않구나(春來不似春,춘래불사춘)’
왕소군<사진=바이두> |
한(漢)나라 시기 흉노의 땅으로 보내져 돌아갈 수 없는 고향 땅을 그리워한 왕소군(王昭君)의 감정을 그린 시 소군원(昭君怨)의 한 구절이다. 왕소군은 서시, 양귀비, 초선과 함께 고대 중국 4대 미녀로 꼽히는 절세 미인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국력이 쇠퇴한 한 원제(元帝) 시기 당시 한나라는 북방의 이민족인 흉노로부터 자주 침입을 당하며 곤욕을 치뤘다. 그러던 중 한나라 원제는 흉노 왕으로부터 한나라 궁녀를 보내라는 요청을 받게 된다.
이에 한나라 원제는 자신의 후궁 중 가장 외모가 떨어지는 추녀를 보내기로 작정을 했다. 그런데 화공은 왠일인지 왕소군을 못생기게 그렸다. 원제는 화공이 그려온 초상화 중 실제와 달리 흉하게 그려진 왕소군을 선택하게 된다.
흉노로 시집간 왕소군은 길쌈하는 방법을 전수하는 등 한나라 선진 문물 전수에 힘을 쏟았다. 또 한나라와 우호적인 관계 유지에 힘써 그 후 80여 년 동안 흉노와 한나라와의 전쟁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경국지색의 미모로 당나라 쇠락을 이끈 양옥환(楊玉環 719-756)
당나라 현종은 당 태종에 버금갈 정도로 국력을 키우면서 개원의 치(開元之治713년~ 741년)로 불리는 태평성세의 시대를 이끌었다. 하지만 명군으로 불렸던 현종은 745년 양옥환을 귀비로 맞으면서 서서히 몰락의 길을 걷게 된다.
양옥환은 훗날 양귀비란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중국 4대 미녀 중 한 명이다. 양옥환이 등장한 후 외척 양씨 일가의 국정 전횡이 시작되면서, 당나라는 점점 쇠락하게 된다. 그 중 양옥환의 사촌 오빠 양국충(楊國忠)은 승상에 올라 국정을 전횡하는 한편 환관과 담합해 현종을 정치에서 멀어지게 만들었다.
755년 절도사인 안록산(安祿山)이 양국충의 전횡을 명분으로 난을 일으키게 된다. 이에 피난길을 오른 현종을 수행한 장군 진현례(陳玄禮)가 성난 병사들의 불만을 진정시키기 위해 현종에게 양귀비를 제거할 것을 진언하게 된다. 결국 현종은 양옥환에게 자결을 명하면서 양귀비는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게 된다.
양옥환 초상화<사진=바이두> |
◆명나라의 명운을 바꾼 미녀 진원원(陳圓圓 1624-1681)
진원원(陳圓圓)은 명나라 시기 쑤저우(蘇州) 출신의 기생으로, 외모뿐만 아니라 빼어난 춤과 노래 실력으로 명성을 널리 알렸다.
진원원<사진=바이두> |
명나라 마지막 황제 숭정제의 총애를 받던 전비(田妃)의 부친인 전홍(田弘)이 황제의 환심을 사고자 진원원을 입궁시킨다. 다만 숭정제는 내우외환으로 국정이 어지러운 탓에 진원원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 후 전홍은 다시 진원원을 유명한 무관이자 당시 실력자인 오삼계에게 보낸다.
진원원에 용모에 매료된 오삼계(吳三桂)는 그를 바로 애첩으로 삼았다. 그 후 오삼계는 랴오닝에서 베이징으로 통하는 군사 요충지이자 최후의 방어선인 산해관(山海關)의 방비를 위해 떠나게 된다.
쇠퇴의 길에 접어든 명나라 말기에 농민 이자성(李自成)이 봉기를 일으키자 파죽지세로 베이징을 함락시킨다. 이 과정에서 이자성이 진원원을 납치했다는 소식에 오삼계는 산해관의 문을 열고 청나라에 투항하게 된다. 이에 오삼계는 진원원으로 인해 후대인에게 명나라를 배신하고 청나라의 중국 점령을 도운 반역자로 치부되고 있다.
◆청나라 말기의 절대 권력자 서태후(西太后, 1835~1908)
청나라 9대 황제 함풍제의 후궁이자 10대 황제 동치제의 모친인 서태후는 국운이 쇠퇴해가는 청나라 말기에 절대 권력을 휘두른 철의 여인으로 유명하다.
1856년 서태후는 함풍제의 아들인 동치제를 낳으면서 의귀비(懿貴妃)로 책봉된다. 함풍제가 1861년 승하하면서 동치제가 어린 나이로 즉위하자, 함풍제의 정비인 동태후와 공동 섭정을 행하면서 치열한 권력 다툼을 하게 된다,
서태후는 동치제가 17살을 넘긴 후에도 정사에 관여하면서 권력을 놓지 않았다. 1875년 동치제가 병으로 요절하게 되자, 서태후는 4살에 불과한 자신의 조카 광서제를 황제의 자리에 올려놓고 수렴청정 체제를 이어갔다.
‘허수아비 황제’였던 광서제는 19세가 되자, 황제로서 자신의 권력을 행사하길 원했다. 이에 광서제는 서태후의 전횡을 막기 위해서 개혁을 추진하게 된다. 바로 헌법 제정, 국회 개설 등을 골자로 하는 ‘무술 변법’을 시행한다. 하지만 이에 반발한 서태후가 무술정변을 일으키며 광서제의 개혁조치는 결국 100일만에 실패로 끝나게 된다.
사실상 청나라 말기 서태후는 황제보다 더 막강한 권력을 휘두른 절대 권력자였다. 1908년 광서제가 사망하자 서태후는 광서제 동생의 아들 부의(溥儀)를 황제로 책봉시킨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서태후도 병으로 세상을 떠나게 되면서 한 시대를 주름잡던 철의 여인 시대도 막을 내린다.
서태후<사진=바이두> |
dongxu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