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내년 상반기까지 수도권 복합환승센터 기본구상 마련
성남축 한남동‧양재동, 고양축 DMC‧합정‧당산 적정
투자 활성화 위해 사업자에 철도부지 사용권 부여
[편집자] 이 기사는 10월 1일 오후 4시55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서울 서초구 양재동 양재시민의숲역과 은평구 증산동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 복합환승센터가 들어설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민간자본을 유치해 경기도에서 서울로 들어오는 광역버스 주요 길목에 쇼핑몰이나 업무시설이 어우러진 복합환승센터를 건설할 계획이다. 민간사업자에게는 도로‧철도부지를 사용할 수 있는 혜택을 부여한다.
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민자 복합환승센터 건설을 골자로 하는 '수도권 교통축별 복합환승센터 개발 기본구상 연구' 용역을 최근 발주했다.
복합환승센터는 열차, 지하철, 버스, 승용차간 환승이 가능하고 상업, 업무기능을 갖춘 복합 시설이다. 신세계그룹이 건설한 동대구 복합환승센터가 대표적이다. 서울에서 강남구 삼성동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와 수서동 수서역 복합환승센터가 추진 중이다.
국토부는 이와 별도로 내년 상반기까지 수도권 광역버스 교통축별로 투자우선순위를 결정해 환승거점을 선정할 계획이다.
유력 후보지는 서초구 양재동 신분당선 양재시민의숲역과 6호선과 경의중앙선, 공할철도 환승역인 은평구 증산동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이 꼽힌다. 한국교통연구원이 발간한 '출퇴근 수급불균형 해소를 위한 대중교통 서비스 정책'에 따르면 두 지역을 환승센터 적정 입지로 지정한 바 있다.
수도권 광역버스 축별 이용인원 [자료=국토부] |
국토부는 우선 광역버스 노선이 가장 많은 성남축과 고양‧파주축 중에서 투자우선순위가 높은 환승 거점을 시범사업지로 선정할 방침이다.
교통연구원에 따르면 성남축 환승센터 적정 입지는 신분당선 양재시민의숲역과 용산구 한남동 한남오거리다. 성남축 광역버스노선은 종점에 따라 종로 방향 노선과 강남 방향 노선으로 구분된다. 종로 방향 노선의 경우 한남대교 북단, 한남오거리에서 환승이 이뤄지고 강남 방향 노선은 양재나들목(IC) 이후로 주로 환승이 이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신분당선의 양재시민의숲역은 경부고속도로 양재IC 부근으로 서울 강남지역의 관문에 해당하는 지점이다. 한남오거리는 경부고속도로의 시‧종점 부근으로 서울시 남‧북간 통행의 가장 중요한 축 상에 위치한 지점이다. 다만 지하철역과 환승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고양‧파주축의 환승센터 적정 입지는 6호선과 경의중앙선, 공할철도 환승역인 서울 은평구 증산동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마포구 서교동 2‧6호선 합정역, 영등포구 당산동 2‧9호선 당산역이다.
고양‧파주축 광역버스노선은 서울역 방향과 여의도 방향 노선으로 나뉜다. 서울역 방향 노선의 경우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여의도 방향 노선은 합정역과 당산역에서 주로 환승이 이뤄졌다.
양재시민의숲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과 함께 경기 과천시 과천동 4호선 선바위역도 수원‧시흥‧안산축 환승거점으로 꼽혔다.
교통연구원이 지난 2014년 선정한 환승센터 적정 입지 [자료=교통연구원] |
다만 교통연구원이 환승센터 입지를 검토한 당시 서울~수도권간 광역버스 노선은 모두 △성남‧용인축 △고양‧파주축 △남양주‧구리축 △김포축 △수원축 △시흥‧안산축 △의정부‧양주축 7개 축으로 구분했다.
지금은 성남축(80개 노선)과 △고양‧파주축(28개) △구리축(27개) △인천‧부평축(21개) △광명순환축(19개) △과천‧안양축(17개) △김포축(11개) △하남축(7개) △의정부축(4개) 9개로 구분한다. 교통축이 9개로 세분화된 만큼 환승센터 입지를 다시 한 번 검토하겠다는 의미다.
국토부는 복합환승센터를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하되 공공성 강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사업시행자에게 토지수용권을 부여하거나 도로‧철도부지 사용권을 부여하는 등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다.
그간 정부 주도로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광역환승센터를 확충해 왔다. 하지만 부족한 예산 탓에 출퇴근 시간 가중되는 교통 혼잡을 해소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판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그간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을 개정해 복합환승센터 사업을 추진해왔으나 수익성 확보 어려움으로 민간사업자 참여가 소극적이었다"며 "수도권의 신개념 복합환승센터 개발 기본구상을 마련해 민간투자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