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해양수산정보 공동이용 종합계획
해양수산정보의 가치 창출 데이터 허브 실현
해수부, 해양수산 정보지도(데이터맵)’ 구축
韓 전 해역의 해양공간계획 체계도 구축
[세종=뉴스핌] 이규하 기자 = 해양수산 분야의 인공지능(AI)·빅데이터 활용과 종합적인 해양수산정보 관리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3년간 121억원이 투입된다. 특히 해양수산정보를 쉽게 이해하고 검색할 수 있는 ’해양수산 정보지도(데이터맵)’가 구축된다. 또 어업, 골재·광물, 에너지개발 등 우리나라 전 해역의 해양공간계획을 위한 체계도 구축한다.
해양수산부는 종합적인 해양수산정보 관리 기반을 위한 제1차(2019∼2021) 해양수산정보 공동이용 종합계획을 3일 발표했다.
이 계획은 3년마다 수립하는 법정계획으로 ‘해양수산정보의 가치 창출 데이터 허브 실현’이라는 비전 아래 4대 전략과 8대 추진과제가 담겼다.
크게 4대 전략으로는 ▲가치 창출을 위한 해양수산정보 제공기반 조성 ▲이용자 편익을 위한 해양수산정보 접근성 강화 ▲참여 및 협업 중심의 지능행정 구현 ▲안정적 서비스 제공 및 운영·관리를 위한 기반 강화 등이다.
핵심 전략안을 보면, 해양수산정보의 변경사항이 자동 갱신될 수 있는 수집·관리체계로 개선된다. 품질관리·표준도 강화하는 등 해양수산정보의 최신성·정확성 확보에 중점한다.
또 이용자 편익을 위한 해양수산정보 접근성도 강화한다. 이를 위해 해양수산 정보지도인 데이터맵이 구축된다. 원형(原形)의 해양수산정보 개방도 확대한다.
참여·협업 중심의 지능행정도 구현한다.
이해관계자의 주도적인 참여·협업 하에 우리나라 전 해역 해양공간계획의 수립·시행을 지원할 정보수집·분석 서비스 제공 체계도 구축한다. 우리나라 전 해역의 해양공간계획은 어업, 골재·광물, 에너지개발, 해양관광, 환경·생태계관리, 연구·교육보전, 항만·항행, 군사활동, 안전관리 등 9개 해양용도구역을 지정·관리하는 안이다.
이 밖에 해양수산정보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정책 수립부터 시스템 기획·운영까지 업무 전 과정에 적용하는 성과관리지표 및 측정방법이 개발된다.
송명달 해수부 해양환경정책관은 “제1차 해양수산정보 공동이용 종합계획은 올해부터 2021년까지 3년간 121억원을 투입해 시행할 것”이라며 “관계기관 등과 긴밀히 협력해 관련 과제들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제1차 해양수산정보 공동이용 종합계획 [출처=해양수산부] |
judi@newspim.com